생체역학 모델을 통한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의 중재 : 단일대상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UE) function associated with reaching training for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based on Biomechanical Frame of Reference. The baseline (phase A) lasted one week. The therapeutic protocol consisted of 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9(11) Vol. 9; no. 11; pp. 231 - 23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UE) function associated with reaching training for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based on Biomechanical Frame of Reference. The baseline (phase A) lasted one week. The therapeutic protocol consisted of three reaching training (Phase B) for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Intervention phases lasted 4 weeks. The CMS-70P (Zebris Medizintechnik Gmbh, Germany)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ative changes in UE function and Pediathc Berg Balance Scale was used to test the balance. The observed performance change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intervention and suggest that biomechanical training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not only manual function but also balance. 본 연구는 생체역학 모델에 기반한 상지훈련을 통해서 강직성 사지마비(spastic quadriplegia) 아동의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매 회기마다 앉은 자세 및 선 자세에서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초기와 마지막 회기에 아동 균형척도(Pediatric Berg Balance Scale)와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CMS-70P, Zebris Medizintechnik Gmbh, Germany)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1주간 기초선 측정 후, 4주간 매 40분씩 12회기 동안 생체역학적 모델에 기반한 상지훈련을 실시한 결과, 기능적 팔 뻗기 검사에서 모든 측정값이 기초선 평균의 +2SD(standard deviation)를 벗어났다. 동작 분석 시스템 상에서 수행 시간, 최고 속도, 최고 속도 도달 시간, 움직임 단위 수가 향상되었고, 아동 균형 척도 검사결과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생체역학 모델에 기반한 상지훈련은 상지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균형 향상에도 긍정적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대상자와 과제를 다양화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909659867931 G704-001475.2009.9.11.007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