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출조건에 따른 유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his study investigat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pplication of Ulmus pumila L. as a natural antioxidant. U. pumila L. was extracted using ethanol (EtOH) at various concentrations (0, 40, and 80%) and extraction times (1, 2, and 3 h) at $70^{\circ}C$ and then evaluated for extraction yield,...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4; no. 8; pp. 1172 - 1179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application of Ulmus pumila L. as a natural antioxidant. U. pumila L. was extracted using ethanol (EtOH) at various concentrations (0, 40, and 80%) and extraction times (1, 2, and 3 h) at $70^{\circ}C$ and then evaluated for extraction yield,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RAC)].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solvent conditions, 80% EtOH extracts for 3 h at $70^{\circ}C$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ith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time effects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owever, ORAC values of all EtOH extracts remarkably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80% EtOH extract for 3 h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effects on HDF and 3T3-L1 cells. Therefor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U. pumila L., may due to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extraction conditions were 80% EtOH for 3 h at $70^{\circ}C$. This extract could be a good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s. 본 연구는 유근피를 항산화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에탄올의 농도(0, 40, 80% 에탄올) 및 추출 시간(1, 2, 3시간)이 다른 조건에서 추출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ORAC value 등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로 3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에탄올 함량에 따른 활성 차이는 보였으나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ORAC는 유근피 추출물의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유근피 추출물은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70^{\circ}C$에서 3시간 추출을 할 때 항산화 활성을 갖는 phenolic 및 flavonoid 계열의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유근피 80% 에탄올 3시간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와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졌으며, 3T3-L1 지방세포에서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감소하였다. 따라서 높은 항산화력을 가진 유근피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526650061289 G704-000433.2015.44.8.017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