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메밀 속성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This study was conduc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formula optimization, salinity, and water content for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buckwheat Soksungjang. To do this, we determined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total microbial flora counts, amino-type nitrogen content, total polyphen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2; no. 8; pp. 1236 - 1241
Main Authors 엄현주(Hyun-Ju Eom), 강혜정(Hye Jeong Kang), 박정미(Jung-Mi Park), 김상희(Sang Hee Kim), 송인규(In Gyu Song), 윤향식(Hyang-Sik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onduc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formula optimization, salinity, and water content for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buckwheat Soksungjang. To do this, we determined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total microbial flora counts, amino-type nitroge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performed a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contents showed a gradual de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mples. During 70 days of fermentation, the pH showed a similar trend starting at a pH of 6, and dropping sharply to 5.5, except Experiment C (15% buckwheat powder in the meju, 10% NaCl, and 130% water in the total Soksungjang). On the other hand, total acidity increased regularly, however, its ranges were various points in all samples.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reduced by 1~3 log cycle in all sample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content of amino-type nitrogen showed a gradual increase during fermentation, ranging from 160 to 213 mg% after 70 day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observed in all samples. In sensory evaluation, Soksungjang with 30% (control) and 15% (Experiment C) buckwhea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score. 본 연구는 장류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속성장을 발굴하여 장류 소비확대와 장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메밀을 이용한 속성장을 제조하였고, 그 실용화와 대량화를 위하여 메밀의 배합비, 염도 및 수분함량을 결정하고자 하였으며, 제조 후 다양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 종류 속성장의 초기 수분함량은 52~64% 수준으로 다양하였고,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이 조금씩 감소하여 숙성 70일째는 53~58%를 나타냄으로써 시료 상의 아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메밀 속성장의 pH는 숙성 70일째 5.1~5.6의 값을 나타내었고, 총산의 경우 0.6~0.8%의 범위로 염 함량이 낮은 된장일수록 높은 산도를 보였다. 총 미생물 균수는 70일째까지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1~3 log cycle 정도 균수가 감소하였다. 초기 발효기간엔 모든 시료에서 44~89 mg% 분포로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을 보이다 숙성이 진행될수록 함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152~213 mg% 함량을 나타내었다. 발효 70일 된 메밀 속성장의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 간에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실험구 C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B, D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메밀 속 성장은 찐콩과 메밀을 8.5:1.5의 비율로 만든 메주를 10% 염도에서 메주의 1.5배의 수분을 첨가하여 만드는 것이 메밀의 함량을 낮추면서 관능적인 면과 다양한 생리활성 면에서 차이가 적은 상업용 메밀 속성장의 배합비라고 생각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26053672841
G704-000433.2013.42.8.004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