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차이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etween two groups(depending on gender and English achievement level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are 98 students who are 36 male and 62 female students. Two Ques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1) Vol. 14; no. 11; pp. 1008 - 1018
Main Authors 임미란(Mi-Ran Lim), 조진현(Jin-Hyun Jo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etween two groups(depending on gender and English achievement level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are 98 students who are 36 male and 62 female students. Two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the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leve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etween two(male-female)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between two(high level-low level) groups.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carefully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erms of its instruments and subjects. Also the differences in other affective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need to be studied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의 남 여학생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라 구분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98명으로 이들 중 남학생은 36명, 여학생은 6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수준 측정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성별과 성적으로 분류된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성별로 나누어진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영어 학업성취도로 분류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연구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도구와 연구 대상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보다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두 집단 간의 다른 정의적 변수의 차이에 관해서도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436438765219
G704-001475.2014.14.11.045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1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