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습지에서 오염물질 제거기작 및 국내외 연구동향
In these days, constructed wetlands are applied in Korea for various purposes ; post-treatment of effluent in wastewater treatment, management of stormwater and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However, the removal mechanisms for water pollutant in constructed wetlands are not clearly understood b...
Saved in:
Published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32; no. 4; pp. 379 - 39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환경공학회
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025 2383-7810 |
Cover
Summary: | In these days, constructed wetlands are applied in Korea for various purposes ; post-treatment of effluent in wastewater treatment, management of stormwater and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However, the removal mechanisms for water pollutant in constructed wetlands are not clearly understood because they are affected by climate, influent characteristics and local constraints.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process that the pollutant, especially nitrogen and phosphorus, of the wetland is removed by. In this study, the main nitrogen removal is performed by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mechanism in the rhizosphere of constructed wetlands. And the majority of the phosphorus is removed by adsorption on the substrate of wetland. However the fate of phosphorus in wetlands can be diverse depending on the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ORP), adsorption/desorption, precipitation/dissolution, microbial effect, etc. 최근 국내에서 인공습지는 하 폐수처리장 방류수의 후처리, 비점오염원 관리, 생태하천 복원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습지가 설치되는 지역의 기후, 유입수의 특성, 지역적 특성 등에 따라 매우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인공습지 내에서의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은 확실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인공습지 내에서 질소, 인을 중심으로 한 오염물질의 제거기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질소 제거의 주된 기작은 인공습지 내의 근권(rhizosphere)에서의 질산화/탈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인 제거의 주된 기 작은 인공습지내 여재 등의 기층(substrate)에서의 흡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습지내의 인의 거동은 산화/환원 전위(ORP), 흡착/탈착, 미생물의 작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018752859393 G704-000098.2010.32.4.002 |
ISSN: | 1225-5025 2383-7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