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블로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research model was created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on use intention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considered factors of Mobile-Blog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Sharedness, Immediacy) and factors of Mobile-User Characteristics(Innovativeness, Familiarity). With 165 people a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2) Vol. 12; no. 2; pp. 94 - 104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A research model was created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on use intention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considered factors of Mobile-Blog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Sharedness, Immediacy) and factors of Mobile-User Characteristics(Innovativeness, Familiarity). With 165 people as specimens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ctors of Mobile-Blog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factors of Mobile-User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ease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use inten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strategic implications to promote customers use intention after analyzing the critical factors that mobile-blog made influence on them. 본 연구는 모바일 블로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독립변수로 모바일 블로그 특성(참여성, 공유성, 즉시성)과 사용자 특성(혁신성, 친숙성)을 제시하여 모바일 블로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65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블로그의 특성이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블로그 이용자 특성이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블로그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209640670427 G704-001475.2012.12.2.019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