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크리에이션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동적 평형성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creational exercise on cognition, depression, dynamic balance and leg strength in elderly women.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exercise group=14, control group=13). Exp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3) Vol. 10; no. 3; pp. 373 - 380
Main Author 김난수(Nan-S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creational exercise on cognition, depression, dynamic balance and leg strength in elderly women.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exercise group=14, control group=13).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recreational exercise program for eight-week. Cognition was assessed by K-WAIS(object assembly & digit symbol) and depression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Dynamic balance(DB) and leg strength(LS) were assessed by 244cm up & go and sit to stand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Wilcoxon sing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gnition(object assembly) and DB, but control group significantly reduced DB. DB in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control group after eight-week. The program was effective on cognition and dynamic balance in elderly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레크리에이션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동적 평형성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으로 모집 시기에 따라 운동군(14명)과 통제군(13명)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두 집단의 사전과 사후 효과를 비교한 비동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다. 운동군에게만 8주간 레크리에이션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두 집단 모두에게 실험 전과 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은 K-WAIS의 하부 항목인 모양맞추기와 바꿔쓰기로 측정하고, 우울은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동적 평형성은 244cm 일어나 왕복걷기로 측정하고 하지근력은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각 집단 내 전과 후의 차이는 Wilcoxon singed rank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 후 두 집단 사이의 각 변수의 차이는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운동군에서는 전보다 8주 후에 모양 맞추기로 측정한 인지기능과 동적 평형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통제군에서는 8주 후 동적 평형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후 통제군보다 운동군의 동적 평형성이 유의하게 컸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동적 평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023557657302
G704-001475.2010.10.3.036
ISSN:1598-4877
2508-6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