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 투여가 골다공증 백서의 골밀도 및 골강도에 미치는 효과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effects of bone metabolism on aquatic exercise, Drynariae Rhizoma and aquatic exercise with Drynariae Rhizom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bone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weight, change of femur, osteocalcin, ALP, Ca and P ef...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9(10) Vol. 9; no. 10; pp. 218 - 226
Main Authors 김찬규(Chan-Kyu Kim), 정대인(Dae-In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effects of bone metabolism on aquatic exercise, Drynariae Rhizoma and aquatic exercise with Drynariae Rhizoma.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bone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weight, change of femur, osteocalcin, ALP, Ca and P effects by aquatic exercise for 6 weeks, Drynariae Rhizoma and Drynariae Rhizoma for aquatic exercise with 40 SD rats of postoophorectomy osteoporosis and it divided 10 subjects. experiment group (I) is applying postoophorectomy osteoporosis group, (II) is applying aquatic exercise group, (III) is applying Drynariae Rhizoma group and (IV) is applying aquatic exercise with Drynariae Rhizoma group. These result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osteocalcin were showed a statically increase and blood Ca level were showed a statically decrease on other groups compare to group(I). Consequently, aquatic exercise and Drynariae Rhizoma would be lead to increment of bone metabolism on postoophorectomy osteoporosis. 본 연구는 난소적출로 유발된 골다공증 유발 백서에서 골쇄보(Drynariae Rhizoma)와 수중운동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6주간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투여를 실시하여 골강도, 골밀도, 혈중 osteocalcin, ALP, Ca과 P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설계는 실험군 I은 대조군, 실험군 II는 수중운동 그룹, 실험군 III은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 10 mg투여군, 실험군 IV는 Drynariae Rhizoma 10mg투여군으로 나누었다. 각 실험군에서 체중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골강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중운동과 골쇄보 10mg 투여군과 골쇄보 10mg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골밀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군에서 증가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형성 지표중의 하나인 Osteocalcin 측정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군에서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혈중 ALP 및 P의 변화는 본 실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혈중 Ca은 골쇄보 투여와 수중 운동으로 인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골다공증 백서에 수중운동과 Drynariae Rhizoma 투여는 난소 적출 후 감소된 골밀도와 골강도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0908856862389
G704-001475.2009.9.10.021
ISSN:1598-4877
2508-6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