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염미증강제 개발을 위한 완도산 다시마의 열수 추출 조건 최적화 및 염미증강 효능 평가

In recent decades, health concerns related to sodium intake have caused an increased demand for salt or sodium-reduced foods. Umami substance can enhance taste sensitivity to NaCl and may offer a unique approach to replace and reduce the sodium content in foods. In this study, hot water extraction c...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4; no. 5; pp. 767 - 774
Main Authors 김효주(Hyo Ju Kim), 양은주(Eun Ju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recent decades, health concerns related to sodium intake have caused an increased demand for salt or sodium-reduced foods. Umami substance can enhance taste sensitivity to NaCl and may offer a unique approach to replace and reduce the sodium content in foods. In this study,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of Wando sea tangle with high umami taste were investigated. Wando sea tangle harvested in June was selected for hot water extraction based on its free amino acids compositi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ea tangle extract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extraction temperatures ($60^{\circ}C$, $80^{\circ}C$, and $100^{\circ}C$) and times (1 h, 2 h, and 3 h). Sea tangle extracts at the extraction temperature of $100^{\circ}C$ contained the highest soluble solids (35.47%~36.93%), and crude protein (3.75%~4.00%). Viscosities of sea tangle extracts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Umami amino acids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best at extraction conditions of $100^{\circ}C$ for 2 h. Saltiness enhancement of sea tangle extract powder was determined. Saltiness intensities of NaCl solution after adding 1% sea tangle extract powder were enhanced (1.84~4.25-fold). At the same saltiness intensity, sodium contents of NaCl solution with 1% sea tangle extract powder were 12.24~24.33% lower than that of NaCl solu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sodium in foods with sea tangle extract as a natural salt enhancer without lowering overall taste intensity. 완도산 다시마를 천연 염미증강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되는 열수 추출 조건을 평가하였으며, 다시마 추출분말을 이용하여 염미증강 효능과 나트륨 저감화율을 분석하였다. 정미성분 추출에 가장 적합한 완도산 다시마의 수확시기를 선정하기 위하여 5월, 6월, 7월에 수확한 다시마의 일반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정미성분 아미노산(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6월 수확 다시마를 추출 원료로 선정하였다. 다시마 열수 추출 온도와 시간 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60^{\circ}C$, $80^{\circ}C$, $100^{\circ}C$에서 1시간, 2시간, 3시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액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100^{\circ}C$ 추출 조건에서 가용성 고형분과 조단백의 함량이 35.47~36.93%와 3.75~4.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점도는 1.96~2.19 cP로 낮게 나타나 추출 온도는 $100^{\circ}C$를 선정하였다. 추출 시간 선정을 위하여 $100^{\circ}C$에서 추출 시간에 따른 추출액의 정미성분 아미노산 함량과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추출 2시간에서 정미성분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각각 275.33 mg%와 121.18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능적 기호도도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 추출을 위해 적합한 추출 온도와 시간은 $100^{\circ}C$, 2시간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정미성분이 최적으로 추출된 다시마의 추출분말을 제조하여 NaCl 용액에 첨가한 후 염미증강 효능을 평가한 결과 짠맛 강도 1, 5, 9의 NaCl 용액이 다시마 추출분말 1% 첨가 후 짠맛 강도 4.25, 10.08, 16.58로 상승하였다. 동일한 짠맛 강도에서 NaCl 용액과 다시마 추출분말이 첨가된 시험용액의 나트륨 함량을 측정하여 나트륨 저감화율을 분석한 결과 12.24~24.33%의 저감화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칠맛과 정미성분이 풍부한 다시마 추출물은 조미소재뿐만 아니라 식품에서 나트륨 함량을 줄이기 위한 천연 염미증강제로서 산업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25041031682
G704-000433.2015.44.5.019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