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중재 효과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life stress and smartphone use on academic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involvement on smatphone use. Online survey are performed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13 to 18 years old. The results show that entertainment u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9) Vol. 16; no. 9; pp. 590 - 599
Main Authors 박남수(Namsu Park), 오하영(Hayoung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life stress and smartphone use on academic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involvement on smatphone use. Online survey are performed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13 to 18 years old. The results show that entertainment use of smartphone and high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olescent academic impairment. In addition,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academic impairment and the dimensions of life stress, such as family conflict, academic, and pressure on the future. With respect to the impact of parent involement on academic impairment and smartphone use, time limit has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tertainment use of smartphone, while restriction on the specific smartphone application use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use of smartphon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이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의 중재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13~18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전반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오락적 목적의 스마트폰 이용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청소년의 학업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간 갈등, 학업, 미래에 대한 압박감 차원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학업장애를 이끈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의 중재는 그 유형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학업장애 요인에 대해 서로 다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용시간을 제한할수록 오락적 이용이 증가하고, 이용하는 앱을 제한할수록 정보적 이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적 형태의 부모 중재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며, 앱을 추천하는 방식의 부모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30762633840
G704-001475.2016.16.9.028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9.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