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외식업체용 IP-USN을 활용한 HACCP 시스템 적용 및 유효성 검증

There is a great need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proven to change behavior and improve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mployee hygiene knowledge, hygiene practice, and cleanliness, before and after HACCP system implementation at one small-size restaurant. The efficiency of 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2; no. 3; pp. 464 - 477
Main Authors 임태현(Tae-Hyeon Lim), 최정화(Jung-Hwa Choi), 강영재(Young-Jae Kang), 곽동경(Tong-Kyung Kwa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re is a great need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proven to change behavior and improve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mployee hygiene knowledge, hygiene practice, and cleanliness, before and after HACCP system implementation at one small-size restaurant.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was analyzed using time-temperature control after implementation of u-HACCP$^{(R)}$. The employee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p<0.05) after HACCP system implementation. In non-heating processes, such as seasoned lettuce, controlling the sanitation of the cooking facility and the chlorination of raw ingredients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CCP. Sanitizing was an important CCP because total bacteria were reduced 2~4 log CFU/g after implementation of HACCP. In bean sprouts, microbial levels decreased from 4.20 logCFU/g to 3.26 logCFU/g.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ygiene knowledge, practice, and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First, personnel hygien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tal food hygiene knowledge' scores (p<0.05). Second, total food hygiene practice scor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with improve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lettuce salad. Third,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after 1 month, there were significant (p<0.05) improvements in times of heating, and the washing and divis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after 2 months, microbiological was maintained, although only two categories (division process and kitchen floor) were improve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ime-temperature control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 consisting of an ubi reader (CCP thermometer), an ubi manager (tablet PC), and application software (HACCP monitoring system). The result of the temperature control before and after USN showed better thermal management (accuracy, efficiency, consistency of time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strict time-temperature control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대부분의 외식산업은 생산 품목, 생산 방법, 생산 기술, 대상자들이 제조가공업체와는 매우 다르고 생산량, 취급인원, 영업규모등도 학교나 병원급식과는 여러 요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외식업체에서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하여 종사자 대상 위생교육과 도입 전후의 미생물 분석과 시스템 도입에 따른 유의성 평가와 평가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USN를 구축하여 도입 전후의 시간-온도관리 분석을 시행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위생교육 전후 조리 종사자의 위생업무 지식에 관한 평가 결과 개인위생, 식품의 공급 및 저장, 식품의 취급 및 배식, 기구의 세척 및 소독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위생교육 전후 조리 종사자의 수행도에 관한 평가결과 식품의 취급 및 배식, 기구의 세척 및 소독, 작업 환경관리 영역에서 유의적으로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조리 종사자의 교육 전후의 위생지식 결과는 개인위생(p<0.05), 식품의 공급 및 저장(p<0.05), 식품의 취급 및 배식(p<0.05), 기구의 세척 및 소독 영역(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정답률이 상승하였고 전체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교육 전 75%에서 교육 후 90%로 향상되었다. 조리 종사자의 위생업무에 대한 수행도 결과는 식품의 취급 및 배식(p<0.05), 기구의 세척 및 소독(p<0.05), 작업 환경관리 영역(p<0.05)과 총 점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ACCP 도입 전후의 소독에 따른 양상추 샐러드 미생물 품질분석 결과는 소독전 일반세균이 양상추 원재료 4.80 logCFU/g에서 소독 후 2.41 logCFU/g으로, 라디치오는 원재료 4.15 logCFU/g에서 소독 후 2.48 logCFU/g으로, 토마토는 원재료 4.10 logCFU/g에서 소독 후 평균 1.68 logCFU/g으로 나타나 중요관리점인 세척 시 소독을 통해 미생물 수치가 감소되었다. 멸치와 꽈리고추의 미생물적 품질결과는 원재료의 일반세균수는 각각 4.52 logCFU/g, 5.72 logCFU/g으로 나타났고, 볶았을 때 멸치는 2.07 logCFU/g, 꽈리고추는 1.50 logCFU/g으로 낮아졌다. 가열 공정 후 대장균군과 장내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멸치꽈리볶음의 생산 공정은 재료별로 따로 볶아 버무리는 공정이 있어 최종식품에는 일반세균 4.33 logCFU/g, 대장균군 0.71 logCFU/g, 장내세균 1.65 logCFU/g, 황색포도상구균이 1.27 logCFU/g으로 검출되었다. 숙주나물의 미생물 분석 결과는 조리단계 및 배식단계에서 각각 4.20 logCFU/g, 4.68 logCFU/g의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적용 후의 조리단계 및 배식단계에서는 각각 3.26 logCFU/g, 3.34 logCFU/g으로 나타났다. 숙주나물 및 잡채의 후처리 작업시 HACCP 적용 전 종사자 손의 일반세균수는 평균 5.90~5.99 logCFU/hand에서 적용 후 평균 0~2.30 logCFU/hand로 나타났다. 가열조리 후처리 공정에서는 교차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종사원의 손의 위생적인 관리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입 전과 도입 후 2개월 시점의 조리 종사자의 위생지식점수 차이, 위생수행도 차이, 양상추 샐러드와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위생수행도의 변화와 양상추 샐러드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 효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여 위생 수행도가 높아질수록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위생지식의 변화와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 변화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5)가 있었다. u-HACCP 시스템 도입 전후 온도관리에서의 3가지(온도측정의 정확성, 온도관리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10837321040
G704-000433.2013.42.3.005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