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기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다중 감각 지원 인터페이스
Applications which are implemented on Table Top Display are controlled by hands, so that they support an intuitive interface to users. Users feel the real sense when they interact on the virtual scene in Table Top Display. However, most of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on Table Top Dis...
Saved in:
Published in |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 12; no. 5; pp. 708 - 71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Applications which are implemented on Table Top Display are controlled by hands, so that they support an intuitive interface to users. Users feel the real sense when they interact on the virtual scene in Table Top Display. However, most of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on Table Top Display satisfy only visual sens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face that supports multi-modal sense in that tactile sense is utilized for augment reality by vibrating a physical control unit when it collides to virtual objects. Users can feel the collision in addition to visual scene. The proposed system facilitates tactile augmented reality through an air hockey game. A physical control unit vibrates when it receives virtual collision data over wireless communication. Since the use of tabletop display environment is extended with a tactile sense based physical unit other than hand, it provides a more intuitive interface.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만든 응용프로그램은 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에서 보여 지는 가상화면에서 실제 물체를 조정하는 듯한 현실감올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응용 증강현실 시스템은 시각적인 감각만을 충족시킨다는 제한사항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현실감 있는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 가상 객체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객체 컨트롤 장치가 진통하게 함으로써 촉각 부분도 지원하는 다중 감각기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에어하키 응용 구현을 통해 시각 및 청각적인 증강현실과 연동하여 가상환경의 충돌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함으로써 촉각적인 증강현실을 반영함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지원과 함께 촉각지원을 추가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손 이외의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의 사용 환경을 확장시켜 보다 실감나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931670572532 G704-000883.2009.12.5.008 |
ISSN: | 1229-7771 238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