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 도출
The value that is emerging in the 21st century is fun. To be involved in the fun of the show and animation, especial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industry. However, the discussion of research in the fun of the animation is very low. Therefore, in this study, what i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11) Vol. 13; no. 11; pp. 96 - 10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11.096 |
Cover
Summary: | The value that is emerging in the 21st century is fun. To be involved in the fun of the show and animation, especial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industry. However, the discussion of research in the fun of the animation is very low. Therefore, in this study, what is the fun of animation, animation of any element how to experience the fun for the audience will see. First, I looked for fun animation to help you understand the theory of fun. It prepared a draft of a fun factor associated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nimation. Conducted a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final draft through the Delphi survey across a total of three times, and then derive an element of fun to it scientifically proven derive the animation of an element of fun. Through this process, the fun factor of the animation was drawn to the fun factor of 5(story, image, sound, movement, psychology) and the details of 18. 21세기에 급부상하고 있는 가치는 재미이다. 특히, 애니메이션에서의 재미는 흥행과 관련된 것으로 애니메이션의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애니메이션의 연구 중 재미에 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재미가 무엇인지, 애니메이션의 어떠한 요소들이 관객에게 재미를 경험하게 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먼저, 애니메이션의 재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재미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특성과 관련된 재미요소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 초안을 가지고 총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총14명)를 통해 재미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적으로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를 스토리의 재미요소, 이미지의 재미요소, 사운드의 재미요소, 움직임의 재미요소, 심리적 재미요소로 도출하였고, 세부항목으로는 18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36161061772 G704-001475.2013.13.11.037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11.0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