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을 첨가한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특성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with different amounts (0.5, 1, 1.5, or 2%) of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extracts. Characteristics measured included approximate composition, water holding capacity (WHC), hardness, pH, Hunter's color value, total aer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2; no. 5; pp. 774 - 783
Main Authors 조경옥(Kyung Ok Cho), 김선임(Sun Im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with different amounts (0.5, 1, 1.5, or 2%) of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extracts. Characteristics measured included approximate composition, water holding capacity (WHC), hardness, pH, Hunter's color valu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sensory qualities. Green tea approximately contained 3.4%, 31.8%, 5.5%, and 57.7%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arbohydrate,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type of tea. However, the crude fat content of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ere 1.6%, 1.0%, and 0.9%, respectively. Green tea had the highest content of crude fat (p<0.05). Boiled pork approximately contained 55.1%, 38.6%, 5.2% and 0.9%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respectively. The WHC of boiled pork, with tea extract adde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tea. The hardness of boiled pork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tea extract added increased (p<0.05). The pH of the boiled por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storage for one day,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trol groups and boiled pork with 0.5% of any tea extract added during storage. However, in boiled pork with 1%, 1.5%, or 2% of any tea extract added,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storage. The Hunter's L and b values decreased in all boiled pork. The Hunter's a-values also decreased in boiled pork with green and black tea extract added, but increased in boiled pork with oolong tea extract added. In boiled pork with tea extract added,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tea extract added increased during storage (p<0.05). The VBN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groups. TBARS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iled pork with green tea extract added, oolong tea added (at concentrations of 1%, 1.5%, or 2%), and black tea extract added compared to control groups on the first day.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of boiled pork containing 1% of oolong or black tea extracts had the highest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ast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iled pork has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1% of oolong or black tea extracts added. 본 연구는 녹차, 오룡차, 홍차 추출물 0.5, 1, 1.5, 2%를 비육돈육(B 등급) 등심 수육에 첨가하여 수육의 일반성분, 보수력, 경도, pH, 색도, 미생물 수준, 휘발성 염기질소, TBARS, 관능검사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녹차의 수분 함량은 3.4%, 조단백질 31.8%, 조회분 5.5%, 탄수화물 57.7%였으며 차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지방은 녹차 1.6%, 오룡차 1.0%, 홍차 0.9%로 녹차의 조지방 함량이 오룡차나 홍차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돼지고기 수육의 수분 함량은 55.1%, 조단백질 38.6%, 조지방 5.2%, 조회분 0.9%이었다. 보수력은 모든 차 추출물 첨가 수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차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경도는 모든 차 첨가 수육에서 추출물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홍차 수육이 녹차와 오룡차 수육보다 경도가 낮았다. 수육의 pH는 제조일에는 각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처리 수육과 모든 차 0.5% 수육에서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1, 1.5, 2% 녹차, 오룡차, 홍차 수육에서는 저장 중 pH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녹차 수육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감소하다가 2% 녹차 수육에서는 증가하여 0.5% 녹차 수육과 같은 수준이었다. 오룡차 수육은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홍차 수육은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수준은 모든 차 처리 수육에서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이 증가하였다. 수육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제조일에는 각 처리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모든 수육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TBARS 값은 제조일에는 무처리 수육보다 1, 1.5, 2% 녹차 수육과 오룡차 수육, 모든 홍차 수육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수육에서 TBARS 값이 높아졌다. 관능검사 결과 홍차와 오룡차 1% 추출물 첨가 수육이 색, 향, 종합적 기호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맛 점수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보다 오룡차와 홍차 추출물의 첨가가 돼지고기 수육의 이취를 감소시키고, 특유의 색상을 부여하여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열 조리 및 저장 중 지방산패를 방지하여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돼지고기 수육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홍차 추출물의 이용이 가장 좋았으며 오룡차와 홍차 추출물의 최적 첨가 농도는 1%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17660998228
G704-000433.2013.42.5.016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