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수산물의 비소, 크롬, 니켈의 오염도 분석 및 위해도 평가

The heavy metal (arsenic, chrome, and nickel) contents in dried marine products sold in market were investigated using ICP-MS to assess the associated health risk. Chrome and nickel were not detected at significant levels. However, arsenic was detected in all (21 specimens) dried crustacean product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g sigpum wi'saeng anjeonseong haghoeji Vol. 36; no. 2; pp. 135 - 140
Main Authors 김진아, 조인순, 신영, 장정임, 김수진, 정지헌, 이성득, 신기영, Kim, Jin-Ah, Jo, In-Soon, Shin, Young, Jang, Jung-Im, Kim, Soo-Jin, Jung, Ji-Hun, Lee, Seung-Deuk, Shin, Gi-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0.04.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heavy metal (arsenic, chrome, and nickel) contents in dried marine products sold in market were investigated using ICP-MS to assess the associated health risk. Chrome and nickel were not detected at significant levels. However, arsenic was detected in all (21 specimens) dried crustacean products, including 10 (50%) among 20 dried mollusk specimens, 15 (13.9%) among 108 dried fish products, and 6 (17.1%) among 35 specimens of dried seaweed, which exceeded the set level for some dried agricultural products and medicinal herb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Regulatory levels for heavy metal contents in marine products are not currently available.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per regulation and consistent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marine products. Although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he investigated heavy metals do not seem harmful in terms of the statistical percentage of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 consistent investigation of the health risk due to contamination of dried marine products by heavy metals is required. 서울시 경동시장 및 인근 대형마트에서 유통 중인 건조수산물 150여 건을 시료로, ICP-MS를 이용하여 규격 미설정 중금속인 비소, 크롬, 니켈에 의한 오염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위해도를 분석하였다. 크롬과 니켈은 검출량 및 위해도 분석 결과, 유의할 만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비소 검출량의 경우 건조어류 1.76±1.36 (0.00-7.34), 건조연체류 3.38±2.42 (0.06-7.89), 건조해조류 1.99±1.33 (0.28-5.97), 건조갑각류 6.62±2.50 (3.30-13.57)ppm으로, 현재 건조 농산물 일부 및 한약재에서의 3 ppm 이하 규정을 간접적으로 적용했을 때, 건조갑각류는 분석에 사용된 시료 21건 모두 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고, 건조연체류는 총 20건 중 50%에 해당하는 10건이 기준 이상, 건조 어류는 총 108건 중 15건(13.9%)이 기준 초과, 건조 해조류는 35건 중 6건(17.1%)의 시료가 기준을 초과한 결과를 보였다. 시료 건수에 따른 한계에도 불구하고, 위 결과를 통해 각 품목별 및 세부 품목별 미 규격 중금속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 축적과 규격 설정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PTWI 분석 결과 아직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중금속은 여러 경로로 인체내로 유입되며 위해도는 총합으로써 평가해야 하므로, 해양 및 수산물의 오염으로 인한 건강 위해 가능성에 대한 확인은 다각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15463010722
ISSN:1229-1153
2465-9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