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네트워크에서 최대 요구대역폭 트리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Recently, an idea has been suggested in which members construct the network by sharing their surplus bandwidth of their own access point. This kind of network is called public-shared network. As an application, SVC video streaming delivery system on public-shared network has been proposed. To send v...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 20; no. 4; pp. 87 - 93
Main Author 정균락(Kyun-Rak Ch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Recently, an idea has been suggested in which members construct the network by sharing their surplus bandwidth of their own access point. This kind of network is called public-shared network. As an application, SVC video streaming delivery system on public-shared network has been proposed. To send video stream from the stream server to clients, a tree structure is constructed where the root is a stream server, internal nodes are sharable access points, and leafs are clients.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constructing the minimal sharable-bandwidth tree which can serve all video streaming requests using the minimal sharable bandwidth. In this paper, we have shown that the problem of constructing a tree structure with given sharable access points to serve maximal video streaming requests is NP-hard. We also have developed an efficient heuristic algorithm for this problem and evaluated experimentally our algorithm. 최근에 사용자 스스로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신이 소유한 AP의 일부 대역폭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를 공유 네트워크라 한다. 응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공유 네트워크에서 SVC 기술을 사용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는데,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비디오 스트림을 보내기 위해서는 루트는 서버이고 내부노드는 공유 AP이며 리프는 클라이언트인 트리 구조를 만들게 된다. 기존의 연구들은 공유 AP의 공유대역폭의 합을 최소로 사용해서 모든 클라이언트를 서비스하는 최소 공유대역폭 트리를 구축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AP들의 집합이 주어졌을 때 클라이언트의 비디오 스트림 요구를 최대로 만족시키는 최대 요구대역폭 트리를 구축하는 문제가 NP-하드임을 증명하였다. 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14039404911
G704-001619.2015.20.4.007
ISSN:1598-849X
2383-9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