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피폭선량에 대한 분석 : C대학병원 사례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내 C 대학병원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종사자들과 임상실습에 임하는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의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발생률을 분석함으로써 방사선의 확률적 영향에 관련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 내 C 대학병원 방사선 작업종사자 구역에서 근무한 핵의학과(10명)와 방사선종양학과(15명) 방사선사들과 동 의료기관에서 7~8 월 임상 실습과정을 모두 이수한 방사선학과 재학생 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사들의 피폭선량으로 인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8; no. 5; pp. 403 - 409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11.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4.18.5.403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내 C 대학병원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종사자들과 임상실습에 임하는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의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발생률을 분석함으로써 방사선의 확률적 영향에 관련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2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 내 C 대학병원 방사선 작업종사자 구역에서 근무한 핵의학과(10명)와 방사선종양학과(15명) 방사선사들과 동 의료기관에서 7~8 월 임상 실습과정을 모두 이수한 방사선학과 재학생 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사들의 피폭선량으로 인한 폐의 부작용 발생률은 표층선량과 심부선량은 모두 10,000,000명 당 2.5명의 확률임을 나타내었다. 핵의학과는 표층선량 2.90 ± 0.61 mSv, 심부선량은 3.02 ± 0.63 mSv로 100,000명 당 1.5명이 발생확률임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시출입자로 분류된 방사선학과 재학생들은 표층선량은 0.99 ± 0.12 mSv, 심부선량은 0.97 ± 0.11 mSv 였으며 발생확률은 1,000,000명 당 6.8명, 6.6명의 결과를 산출하였다. 방사선 종사자들의 개인별 피폭선량을 최소화하며 방사선의 안전관리와 확률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robabilistic effects of radiation by measuring the radiation exposure dose of radiation workers and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 participating in clinical practice at C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City and analyzing the incidence rat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nuclear medicine technologists and 15 radiation oncology worker who worked in the radiological technology area of C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City from January 1, 2023 to December 31, 2023, and 82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 who completed the clinical practice course at the same medical institution from July to August. The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on the lungs due to radiation exposure dose of radiation oncology worker was shown to be 2.5 per 10,000,000 people for both shallow and deep doses.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showed a shallow dose of 2.90 ± 0.61 mSv and a deep dose of 3.02 ± 0.63 mSv, indicating an occurrence probability of 1.5 per 100,000 people. In addition, the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 classified as frequent visitors showed a shallow dose of 0.99 ± 0.12 mSv and a deep dose of 0.97 ± 0.11 mSv, indicating an occurrence probability of 6.8 and 6.6 per 1,000,000 people. It is thought that thi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minimizing individual exposure dose for radiation workers and analyzing the safety management and probabilistic effects of radiation.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431849470740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4.18.5.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