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입지 변화와 산업도시 쇠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제조업의 입지와 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1960년대~1980년대에 한국의 수출주도형 산업정책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입지정책의 영향으로 수도권과 동남권 중심의 제조업 공간구조가 구축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 세계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에 따라 기술 및 지식 집약적 제조와 연구개발 활동이 수도권에 집중되었다. 반면 조립공장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비수도권 산업도시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제조업 및 창업 활동이 수도권에 더욱 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7; no. 2; pp. 75 - 94
Main Authors 구양미, Yangmi Koo, 김성훈, Seonghu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2.7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제조업의 입지와 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1960년대~1980년대에 한국의 수출주도형 산업정책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입지정책의 영향으로 수도권과 동남권 중심의 제조업 공간구조가 구축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 세계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에 따라 기술 및 지식 집약적 제조와 연구개발 활동이 수도권에 집중되었다. 반면 조립공장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비수도권 산업도시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제조업 및 창업 활동이 수도권에 더욱 집중되면서 인접한 충청권 북부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것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와 생산 기능 해외 이전, 국가적 차원에서 지식 집약적 제조 및 연구개발 활동의 수도권 집중이 제조업 공간구조에 투영된 결과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s i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m. From the 1960s to the 1980s, under Korea’s export-oriented industrial policy and location policy of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a manufacturing spatial structure was centered o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Southeastern Region. Since the mid-1990s, with the emergence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strengthen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technology- and knowledge-intensive manufacturing and R&D activ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On the other hand, as the overseas relocation of assembly plants accelerated, the decline of industrial cities in the non-Metropolitan Region progressed. Since the 2010s, manufacturing and start-up activities have become mo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howing signs of expanding to the adjacent northern Chungcheong Region. This results from changes in the global value chains followed by overseas relocation of production functions at the global level, and concentration of knowledge-intensive manufacturing and R&D activ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t the national level, which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Bibliography: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423443227584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