찔레꽃 추출물의 모공 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 연구
본 연구는 찔레꽃(Rosa multiflora, R. multiflora)을 모공 개선 화장품 소재로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찔레꽃의 에탄올 추출물(R. multiflora extract, RME)을 이용해 모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피지조절과 수렴성 및 세포외 기질과 관련된 다양한 인자들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임상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RME는 피지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수렴성인 탄닌 성분을 통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1β-hydroxysteroid deh...
Saved in:
Published in | 大韓化粧品學會誌 Vol. 50; no. 3; pp. 201 - 211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화장품학회
30.09.2024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587 2288-950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찔레꽃(Rosa multiflora, R. multiflora)을 모공 개선 화장품 소재로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찔레꽃의 에탄올 추출물(R. multiflora extract, RME)을 이용해 모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피지조절과 수렴성 및 세포외 기질과 관련된 다양한 인자들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임상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RME는 피지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수렴성인 탄닌 성분을 통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의 활성과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생성을 억제하고 히알루론산 합성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RME는 임상에서 모공 파라미터인 모공의 면적, 깊이, 수, 부피, 밀도를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피지 역시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RME가 수렴효과를 지니며, 피지 생성 및 ECM 관련 인자들을 조절함으로써 모공을 개선하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Rosa multiflora (R. multiflora) as a cosmetic material for refining pores, and the ethanolic extract of R. multiflora (RME) was used to identify changes in various factors related to sebum regulation, astringency, and extracellular matrix, which are known to affect pores, and the effects were confirmed through clinical trials.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were confirmed through clinical trials. As a result, RME suppresses the excessive production of sebum, and it possesses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rough an astringent tannin component. Futhermore, RME inhibited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β-HSD1)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production, and it increased hyaluronic acid synthesis. In clinical trials, it was confirmed that RME significantly reduced the area, depth, number, volume, and density of pores-key parameters for assessing pores-and it also reduced sebum levels. This suggests that RME has an astringent effect and could be used as a cosmetic ingredient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pores by controlling sebum production and influencing ECM-related factors. |
---|---|
Bibliography: |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430540212658 http://dx.doi.org/10.15230/SCSK.2024.50.3.201 |
ISSN: | 1226-2587 2288-9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