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 협착증 중증도 평가에서 우측 흉골연 장축 단면도 (RPV)의 임상적 유용성: 심첨 5방도와의 비교
본 연구는 대동맥판협착(Aortic stenosis, AS) 평가에 있어 심첨 5방도(Apical 5-chamber view, Apical 5CH)에서의 혈류 도플러 측정뿐 아니라, 우측 흉골연 장축 단면도(Right parasternal long-Axis view, RPV)를 추가로 활용하여 혈류 속도 차이와 AS 중증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S가 의심되는 환자 38명(남: 13명, 여: 25명, 평균연령: 77±9.4세)을 대상으로 경흉부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38명중 RPV에서혈류 속도 변화가 관찰된 실험...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9; no. 2; pp. 195 - 20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5.19.2.195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대동맥판협착(Aortic stenosis, AS) 평가에 있어 심첨 5방도(Apical 5-chamber view, Apical 5CH)에서의 혈류 도플러 측정뿐 아니라, 우측 흉골연 장축 단면도(Right parasternal long-Axis view, RPV)를 추가로 활용하여 혈류 속도 차이와 AS 중증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S가 의심되는 환자 38명(남: 13명, 여: 25명, 평균연령: 77±9.4세)을 대상으로 경흉부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38명중 RPV에서혈류 속도 변화가 관찰된 실험군은 14명(36.8%)으로 확인되었으며 14명의 실험군 중 8명(57.1%)의 AS 중증도가 재평가 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플러 매개변수 비교 결과 RPV에서 측정한 최고 혈류속도(AV Vmax), 평균압력차(meanPG), 최대 압력차(peakPG), 그리고 도플러 속도 지수(DVI)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RPV가 AS 평가에서 기존의 Apical 5CH 접근법이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 AS 중등도(moderate)와 중증(severe) 경계에 있는 환자의 재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중증도를 정확히 반영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PV가 기존 접근법을 대체하기보다는 보완적 검사 창으로 활용되어, AS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corporating the right parasternal long-axis view (RPV)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apical 5-chamber view (Apical 5CH) for the assessment of aortic stenosis (AS) by analyzing flow velocity differences and severity assessment.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was performed on 38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AS (13 males, 25 females; mean age, 77 ± 9.4 years). Among these patients, 14 (36.8%) exhibited detectable blood flow velocity changes on the RPV, and within this subgroup, 8 patients (57.1%) had their AS severity classification changed. A comparative analysis of Doppler parameter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with observable RPV flow changes) and the control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um aortic valve velocity (AV Vmax), mean pressure gradient (meanPG), peak pressure gradient (peakPG), and Doppler velocity index (DVI) measured on the RPV.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RPV can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Apical 5CH approach by playing a crucial role in reclassifying patients with borderline moderate-to-severe AS, thereby enhancing the accuracy of AS severity assessment. The RPV should be employed as a complementary imaging modality, rather than serving as a replacement. This approach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diagnostic reliability and improve patient prognosis.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514243203871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5.19.2.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