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취득 및 정수와 관련된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본 연구는 물의 취득과 정수와 관련된 적정기술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8차시의 적정기술과 관련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물의 취득과 관련된 과학적 원리 및 와카타워 적정기술에 대한 탐구를 수행하는 차시와 물의 정수와 관련된 라이프 스트로우 및 드링커블북 탐구 실험이 포함된 차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설계를 통한 실천적 과제를 제시한 차시, 캠페인 활동을 수행하는 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학생 51명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교육연구지 Vol. 47; no. 3; pp. 238 - 250
Main Authors 김형욱, Hyunguk Kim, 정소진, Sojean Jeong, 정소리, Sori Jeong, 문성윤, Sungyun M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물의 취득과 정수와 관련된 적정기술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8차시의 적정기술과 관련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물의 취득과 관련된 과학적 원리 및 와카타워 적정기술에 대한 탐구를 수행하는 차시와 물의 정수와 관련된 라이프 스트로우 및 드링커블북 탐구 실험이 포함된 차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설계를 통한 실천적 과제를 제시한 차시, 캠페인 활동을 수행하는 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학생 51명으로 하였으며, 환경과 상황에 맞도록 수정한 과학적 태도 검사지와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지를 사전, 사후에 투입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사후 검사지를 대상으로 과학적 태도와 창의적 문제 해결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면서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이 견지하게 된 하위영역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과학적 태도 중 호기심, 개방성, 협동성, 창의성은 사전 검사전체 평균과 사후 검사 전체 평균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평균값의 상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경우에는 특정영역 숙달 여부 영역 및 확산적 사고의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과학적 태도의 협동성은 창의적 문제 해결력 모든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판적 논리적 사고 하위영역과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4개 영역은 과학적 태도의 하위영역과 다수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적정기술과 관련된 주제의 적용과 방향 그리고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대하여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n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related to water acquisition and purification on scientific attitud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this study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related to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mposed of 8 sessions, and some were for exploring water acquisition-related scientific principles and the appropriated technology of Warka Tower, and the others were for conducting water purification-related inquiry experiments, such as Life Straw and Drinkable Book, and the last two sessions were for presenting practical tasks through creative ideas and designs and carrying out the relevant campaign activities. For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51 students from two sixth-grade classes, and after modifying the scientific attitude questionnaire an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 questionnaire fit for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paired-sample t-test by applying both the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In addition, while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attitud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 post-test results,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sub-domains perceived by the students after this program was appl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Out of all the scientific attitudes, curiosity, openness, cooperation, and crea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an increase in the average value when their overall averages of the pre-tes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ost-test.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 domain of mastering a specific area and the domain of divergent think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operation out of the scientific attitud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uch sub-domains a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ll the four domains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howed a number of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ub-domains of scientific attitud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bove,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on how and where to apply such appropriate technology-related topics in the future and various responses from students.
Bibliography: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307243544973
http://dx.doi.org/10.21796/jse.2023.47.3.238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3.47.3.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