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팽창형 막의 제조 원리에 기초한 동시대 조형예술
공기주입식 조형은 외피의 가단성과 유연성에 기반하고 내부의 공기 압력을 고르게 분배하여 공압식 구조를 만듦으로써 입체형태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연구의 목적은 팽창형 막에 공기를 채워 넣어 형태를 부여하는 제작과정에서 필수적인 조형 원리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범주에 속하는 2000년 이후 조형예술의 동향을 조망하기 위해 수집한 표본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Ⅱ장은 문헌 조사를 연구방법으로 취해 공기팽창형 구조에 관련한 용어 정의, 조형 원리에 기반한 제작과정, 가변형 막에 적합한 소재 유형, 조형적 특성, 초기 미술사적...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3; pp. 217 - 23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5.3.15 |
Cover
Summary: | 공기주입식 조형은 외피의 가단성과 유연성에 기반하고 내부의 공기 압력을 고르게 분배하여 공압식 구조를 만듦으로써 입체형태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연구의 목적은 팽창형 막에 공기를 채워 넣어 형태를 부여하는 제작과정에서 필수적인 조형 원리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범주에 속하는 2000년 이후 조형예술의 동향을 조망하기 위해 수집한 표본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Ⅱ장은 문헌 조사를 연구방법으로 취해 공기팽창형 구조에 관련한 용어 정의, 조형 원리에 기반한 제작과정, 가변형 막에 적합한 소재 유형, 조형적 특성, 초기 미술사적 배경을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Ⅲ장에서는 동시대 미술의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대중 친화적인 팝아트, 사유의 확장을 유도하는 개념미술, 아날로그 동력을 활용한 키네틱 아트, 기념비적 규모의 스펙터클 양식으로 추출한 선행연구 사례 12점의 작품을 분석한다. 최소한의 물질인 막과 공기 입자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공기팽창형 조형예술은 입체 조형의 형식적 특성 및 표현대상이 일반적으로 귀속되는 인식론적 범주에 대한 이해의 확장을 돕는다. 영속하는 실체가 아닌 한시적 존재인 풍선 조형물은 팽창과 수축 사이, 즉 형태와 형태 없음 사이의 유동적인 상태에 놓임으로써 존재보다는 존재가 되는 것을 지시하는 매개이다. 그 중심에는 획기적인 확장성과 경량화에서 비롯되는 ‘가벼움’과 생성과 소멸의 연속체라는 시간적 관념에 기초한 ‘일시성’의 미학적 함의가 자리한다. 유형의 막과 무형의 공기로 형성된 조형예술에 내재한 가시적, 비가시적 존재의 의미작용이 삶의 일시적 본질이 존재의 무상함을 포용하고 현재를 살아가야 함을 상기시키는 맥락과 연동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시적인 수명 주기를 갖는 공기주입식 예술은 예술의 영속성에 대한 기존의 관념에 도전하고 그것을 접하는 사람들이 현재의 순간을 감상하고 즐기도록 장려한다.
Inflatable art maintains a 3-D form in pneumatic structures based on the malle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membrane and the even distribution of internal air pres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ve principles essential to the process of filling inflatable membranes with air to give them form, an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typology of examples collected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s in contemporary art since 2000 that fall under this category. Chapter II uses a literature review as a research methodology to define terms related to inflatable structures, outline the fabricating process based on basic principles, appropriate membrane material types, sculptural characteristics and early art historical background in inflatables. Chapter III analyzes twelve artworks selected as precedents, categorizing them into four main types: viewer-friendly pop art, thought-provoking conceptual art, analog forced kinetic art, and monumental spectacles in scale.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a membrane and air, inflatable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formal qualities of sculpture and the epistemological categories to which its representational objects are commonly ascribed. As ephemeral rather than permanent entities, inflatable art can be seen as a medium that dictates becoming rather than being, as it is placed in a state of flux between expansion and deflation, between form and formlessness. Central to this are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lightness’, derived from its radical scalability and minimized weight, and ‘transience’, based on the idea of time as a continuum of creation and destruction. The semiotics of visible and invisible presence inherent in inflatables made of tangible membranes and intangible air implies the transient nature of life as a reminder to embrace the impermanence of existence and live in the present. As such, ephemeral inflatable art challenges conventional notions of the permanence of art and encourages those who encounter it to appreciate and enjoy the present moment.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5.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