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오침안정법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 연구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4; pp. 141 - 153
Main Authors 백미숙, Baek¸ Mi S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4.10

Cover

Loading…
Abstract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흥미와 함께 디자인 속에 담아있는 한국 전통 인문학이야기들을 담아 전달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온라인조사 등을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사례들을 조사, 정리를 하여 고찰하였다. 전통 문화예술 교육 현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조사하여 교육의 주제, 지역, 교육의 형태, 대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 문화예술 교육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글, 한복, 태극기, 일월오봉도, 태권도 5가지를 선정하여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한국 전통 오침안정법을 응용하여 제작한 미니노트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자료로 연계성 있는 디자인개발로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셋째, 미니노트 포장 패키지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니노트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의 한국 전통 문화예술들을 학습하고 체험하면서, 한국 전통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전통 문화예술과 연계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의미한 연구라 할 것이다. The global OTT market has grown rapidly as COVID-19 has been prolonged and people have been avoiding face-to-face contact. The OTT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but there is a lack of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content centered on K-pop and drama is rapidly spreading around the worl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nt related to Korea's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residents, and foreign tourist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arts, bu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relevant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sig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nd through this, it aims to increase interest in Korean culture by conveying traditional Korean humanities stories in the design along with visual interest. It also aims to develop various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First, literature and papers related to cultu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sites were investigated online and offline. The numbers and qualities of educations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ubject, region, form, and target wer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was derived. Second, a mini-note design was developed by selecting 5 items of Hangeul, Hanbok, Taegeukgi, Ilwolobongdo, and Taekwondo. Third, the development of mini note package design was completed. The mininote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content while learning and experienc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various fields. This can be a meaningful study that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developing designs that are link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bstractList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흥미와 함께 디자인 속에 담아있는 한국 전통 인문학이야기들을 담아 전달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온라인조사 등을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사례들을 조사, 정리를 하여 고찰하였다. 전통 문화예술 교육 현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조사하여교육의 주제, 지역, 교육의 형태, 대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 문화예술 교육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글, 한복, 태극기, 일월오봉도, 태권도 5가지를 선정하여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한국 전통 오침안정법을 응용하여 제작한 미니노트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자료로 연계성 있는 디자인개발로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셋째, 미니노트 포장 패키지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니노트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의 한국 전통 문화예술들을 학습하고 체험하면서, 한국 전통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전통 문화예술과 연계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의미한 연구라 할 것이다. The global OTT market has grown rapidly as COVID-19 has been prolonged and people have been avoiding face-to-face contact. The OTT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but there is a lack of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content centered on K-pop and drama is rapidly spreading around the worl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nt related to Korea's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residents, and foreign tourist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arts, bu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relevant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sig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nd through this, it aims to increase interest in Korean culture by conveying traditional Korean humanities stories in the design along with visual interest. It also aims to develop various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First, literature and papers related to cultu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sites were investigated online and offline. The numbers and qualities of educations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ubject, region, form, and target wer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was derived. Second, a mini-note design was developed by selecting 5 items of Hangeul, Hanbok, Taegeukgi, Ilwolobongdo, and Taekwondo. Third, the development of mini note package design was completed. The mininote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content while learning and experienc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various fields. This can be a meaningful study that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developing designs that are link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KCI Citation Count: 0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흥미와 함께 디자인 속에 담아있는 한국 전통 인문학이야기들을 담아 전달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온라인조사 등을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사례들을 조사, 정리를 하여 고찰하였다. 전통 문화예술 교육 현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조사하여 교육의 주제, 지역, 교육의 형태, 대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 문화예술 교육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글, 한복, 태극기, 일월오봉도, 태권도 5가지를 선정하여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한국 전통 오침안정법을 응용하여 제작한 미니노트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자료로 연계성 있는 디자인개발로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셋째, 미니노트 포장 패키지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니노트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의 한국 전통 문화예술들을 학습하고 체험하면서, 한국 전통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전통 문화예술과 연계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의미한 연구라 할 것이다. The global OTT market has grown rapidly as COVID-19 has been prolonged and people have been avoiding face-to-face contact. The OTT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but there is a lack of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content centered on K-pop and drama is rapidly spreading around the worl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nt related to Korea's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residents, and foreign tourist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arts, bu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relevant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sig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nd through this, it aims to increase interest in Korean culture by conveying traditional Korean humanities stories in the design along with visual interest. It also aims to develop various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First, literature and papers related to cultu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sites were investigated online and offline. The numbers and qualities of educations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ubject, region, form, and target wer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was derived. Second, a mini-note design was developed by selecting 5 items of Hangeul, Hanbok, Taegeukgi, Ilwolobongdo, and Taekwondo. Third, the development of mini note package design was completed. The mininote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content while learning and experienc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various fields. This can be a meaningful study that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developing designs that are link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uthor Baek¸ Mi Suk
백미숙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백미숙
– sequence: 2
  fullname: Baek¸ Mi Su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9597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81LAkEABfAhCjLz2qXLXroEa_O5M3M0tZIkobx0WmY_jMXScOnQ3ULq4kHJQMOgQwchCYTtX3LH_6ElpdN7hx8P3hZYbzQbPgA7CGYpx5IenF4cFnJZTLM0i-AaSGGOiMmkJOsghZgUprAI2wSZMAwcSCknnFOZApd63F48zox4Ei1ee3rQ0Z2xMZ919fBdj9qGHrYX_aGhBx_651P3O3rcj7_7RvwVxc-d-CFaPEVG3Ovpt64eRcZ8OoyniX6ZzmeTbbBRU9ehn1llGlSPitX8iVmuHJfyubJZF0yYCnOGLe74BPue5VEGPeG7GDrIQlQ6ypXYkz7hrEYkdJUvoecK5aiao4jlJjfSYH8522jV7Lob2E0V_OVV06637Nx5tWQjSCCTmCV4b4XvWsGN7wXKvk2Kat3bZ5VCESFBKGcicbtLVw_C8J9QSCGRgvwCIdKIl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DBRKI
TDB
ACYCR
DOI 10.47294/KSBDA.24.4.10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Journal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ducation
DocumentTitleAlternate 전통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오침안정법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i-note Design using Ochim-anjeongbeob for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DocumentTitle_F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i-note Design using Ochim-anjeongbeob for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EISSN 2713-5993
EndPage 15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05925
NODE11834758
404039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DBRKI
TDB
ACYCR
ID FETCH-LOGICAL-k858-a275267be32ed6d450d8ec20b16149bac92d9e375f390cae90dc8abafba36c473
ISSN 1598-8635
IngestDate Mon Jan 15 05:33:00 EST 2024
Thu Mar 13 19:39:48 EDT 2025
Tue Aug 13 02:12:08 EDT 2024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education
교육
culture and art
design
전통
Ochim-anjeongbeob
tradition
디자인
문화예술
오침안정법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k858-a275267be32ed6d450d8ec20b16149bac92d9e375f390cae90dc8abafba36c473
Notes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8&idx=2414
PageCount 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05925
nurimedia_primary_NODE11834758
kiss_primary_40403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3
  text: 2023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기초조형학연구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기초조형학회
SSID ssib044737749
ssib001148679
ssib009282594
Score 1.8430816
Snippet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SourceID nrf
nurimedia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41
SubjectTerms culture and art
design
education
Ochim-anjeongbeob
tradition
교육
디자인
문화예술
예술일반
오침안정법
전통
Title 전통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오침안정법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040398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3475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95978
Volume 2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기초조형학연구, 2023, 24(4), 118, pp.141-15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etCLKFWsHyWgcypZk8kkmTkmuylVaT1YpZ6WfMwWXdhKbS8ePFVZ9NJDFytspYIHDwWLUFj_pSb7P_hmJtluRdF6mUzevLz55c0k772QeYPQHd92U_ACPJOR2DNpTFIz8WAutzKX-U4LLJ4tFzgvLnkLj-n9FXdlYvLJ2F9LmxtJLX3123Ul_zOqQINxlatkzzCyI6FAgDqML5QwwlD-0xjjqI4DCzOKowZmHg7dORyFOKjjkEkS55hTycQZZkxWoAwsYAqAF3NLtYEMW1VABp0rSVomB6b6XCkhUKJCjgMlCtq0TEAAdeg3JFDRCOYVghCzUDFB6ZaYGHTNFBNAK9FFFZSGbgMWS4KQMq0RAl-eaORlwsjnlRqkTNUK-GgFy1aUhoQu8em74X8QBXOu7C60x-5AaQwuIiyMRVuvM4CXbbv6gFJ-LyFO9QG4nOEj5VW9NM4IEioBZvVxm8GZyTyddaUmFI1A7G-6XG_-WBkavVi8fKDomNWwde6v0gGxdfbkX20bhTCIwox88ChsBDVCa7RW_hB8Ol_40sNGBFGjQyESnETnCIRPcmePxdfRiZtsqzyLo3MuFzCfvJcp9R2ICrhKNVzem853qjDcPYUAXBmIdF6Ca9ZZB4_ufGdTbksB77YxN235ErpYxldGoB-Wy2iivTaNnhb7W8O3R0Z-MBh-3Cl2u0V33zg-2i76n4u9LaPobw17faPY_VL8-Fr0usV-L__eM_Jvg_x9N38zGL4bGPnOTvFpu9gbGMeH_fwQuD8cHh8dXEHL89FyfcEs9xQx28xlZkx8l3h-IhwiMi-jrpUxkRIrgcCH8iROOcm4cHy35XArjQW3spTFSdxKYsdLQS9X0VRnrSOuIYMSoDkZcwQDKyh8uFpY0iX0fCEIzWbQtFRM84XOGtOkYC4dzmbQbVBUs50-a8rM7vK4utZsrzchfr3XlJv-uZy4M2h2pMiRhPGRvf43hhvowsnsv4mmNtY3xS3wnzeSWTUZfgLGtaEm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84%ED%86%B5+%EB%AC%B8%ED%99%94%EC%98%88%EC%88%A0+%EA%B5%90%EC%9C%A1%EC%9D%84+%EC%9C%84%ED%95%9C+%EC%98%A4%EC%B9%A8%EC%95%88%EC%A0%95%EB%B2%95+%EB%AF%B8%EB%8B%88%EB%85%B8%ED%8A%B8+%EB%94%94%EC%9E%90%EC%9D%B8+%EA%B0%9C%EB%B0%9C+%EC%97%B0%EA%B5%AC&rft.jtitle=%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C%97%B0%EA%B5%AC&rft.au=%EB%B0%B1%EB%AF%B8%EC%88%99%28Baek%2C+Mi+Suk%29&rft.date=2023-08-31&rft.pub=%ED%95%9C%EA%B5%AD%EA%B8%B0%EC%B4%88%EC%A1%B0%ED%98%95%ED%95%99%ED%9A%8C&rft.issn=1598-8635&rft.eissn=2713-5993&rft.volume=24&rft.issue=4&rft.spage=141&rft.epage=153&rft_id=info:doi/10.47294%2FKSBDA.24.4.10&rft.externalDocID=NODE1183475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863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863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