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문화예술 교육을 위한 오침안정법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 연구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4; pp. 141 - 153
Main Authors 백미숙, Baek¸ Mi S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코로나19의 장기화로 대면접촉을 기피하는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세계 OTT 시장은 급성장하였고, 이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다양한 콘텐츠의 부재다. 한국은 K 팝과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들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외국인 거주자,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이 늘어가면서 한국 문화예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교육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흥미와 함께 디자인 속에 담아있는 한국 전통 인문학이야기들을 담아 전달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온라인조사 등을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사례들을 조사, 정리를 하여 고찰하였다. 전통 문화예술 교육 현장을 온라인, 오프라인을 조사하여 교육의 주제, 지역, 교육의 형태, 대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 문화예술 교육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글, 한복, 태극기, 일월오봉도, 태권도 5가지를 선정하여 미니노트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한국 전통 오침안정법을 응용하여 제작한 미니노트는 전통 문화예술 교육 자료로 연계성 있는 디자인개발로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셋째, 미니노트 포장 패키지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미니노트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의 한국 전통 문화예술들을 학습하고 체험하면서, 한국 전통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전통 문화예술과 연계성 있는 디자인 개발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유의미한 연구라 할 것이다. The global OTT market has grown rapidly as COVID-19 has been prolonged and people have been avoiding face-to-face contact. The OTT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but there is a lack of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content centered on K-pop and drama is rapidly spreading around the worl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ontent related to Korea's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residents, and foreign tourist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arts, bu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relevant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esign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nd through this, it aims to increase interest in Korean culture by conveying traditional Korean humanities stories in the design along with visual interest. It also aims to develop various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First, literature and papers related to cultu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sites were investigated online and offline. The numbers and qualities of educations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ubject, region, form, and target wer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was derived. Second, a mini-note design was developed by selecting 5 items of Hangeul, Hanbok, Taegeukgi, Ilwolobongdo, and Taekwondo. Third, the development of mini note package design was completed. The mininote desig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be used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content while learning and experienc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in various fields. This can be a meaningful study that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developing designs that are link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8&idx=2414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