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19,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텍스타일의 동향 및 전망

포스트 코로나 이후 텍스타일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연구를 유도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에 국내외 자연·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전개되는 소비트렌드와 디자인 역할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이에 따라 텍스타일 분야에서 나타나는 동향을 탐구하고 전망을 밝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텍스타일 분야의 나아갈 방향 설정과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국내외 소비 트렌드를 비교·분석하여 온택트, 개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3; pp. 425 - 436
Main Authors 최진아, Choe Jin 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포스트 코로나 이후 텍스타일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연구를 유도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에 국내외 자연·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전개되는 소비트렌드와 디자인 역할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이에 따라 텍스타일 분야에서 나타나는 동향을 탐구하고 전망을 밝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텍스타일 분야의 나아갈 방향 설정과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국내외 소비 트렌드를 비교·분석하여 온택트, 개인 멀티 공간, 윤리적 소비, 일상 속 감염 예방으로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2) 디자인 역할의 변화는 디자인이 개인의 소비 욕구를 채워주는 소비재로써 미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것에서 벗어나 사회·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지속가능성과 향균·방역 기능의 강화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텍스타일 기업들은 소재의 생산과 염색·가공 등 제조 과정에 환경을 고려한 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고품질의 재활용 제품 개발로 소비자들의 인식을 개선하여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향균 기능을 위해 천연, 금속 성분 등을 활용한 의류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5) 홈 인테리어 제품에도 개인의 위생과 면역을 위해 향균성을 지닌 제품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섬유 소재로서의 활용이 주목된다. 둘째, 향균 기능성의 추구에 따라 천연 소재, 금속 소재 등을 활용한 섬유 신소재에 관한 연구가 증가할 것이다. 셋째, 보건용, 의료용으로 활용되었던 직물의 향균성이 어패럴 및 홈 인테리어 텍스타일 제품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이다.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induce continuous development and research in the textile field after the post-coronavir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and design roles new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at home and abroad in the Corona 19 era,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textile field in the post-corona era and for future research by exploring trends and revealing the prospects. The research method wa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search and case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By compar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consumption trends, keywords were presented as on-tact, personal multi-space, ethical consumption, and daily infection prevention. 2) The change in the role of design means that design is not pursuing aesthetic value as a consumer product that satisfies individual consumption needs, but is fulfilling its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sustainability and strengthening of antibacterial and quarantine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was confirmed. 3) It was found that textile companies pursue sustainability by developing eco-friendly products by using technology that considers the environm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material production, dyeing and processing, and by improving consumer awareness by developing high-quality recycled products. 4)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lothing materials using natural and metal components for antibacterial function is active. 5) It has been found that product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are also increasing for personal hygiene and immunity in home interior products. I propose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attention is paid to the use of waste as a textile material by recycling it. Second, with the pursuit of antibacterial functionality, research on new textile materials using natural materials and metal materials will increase. Third,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extiles used for health and medical purposes will be actively reflected in apparel and home interior textile produc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9&idx=2177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