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휴양복지 수요자에 대한 시장 세분화 연구
최근 소득수준 향상, 유연근무제 확산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하여 산림휴양복지에 대한 수요 및 이용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산림휴양·복지 시장 전반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각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복지 활동 경험 유형을 4개의 그룹(소극적 이용형, 보통형, 적극적 애호가형, 무관심형)으로 세분화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의 원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3...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2; no. 2; pp. 248 - 257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산림과학회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2.248 |
Cover
Loading…
Summary: | 최근 소득수준 향상, 유연근무제 확산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하여 산림휴양복지에 대한 수요 및 이용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산림휴양·복지 시장 전반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각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복지 활동 경험 유형을 4개의 그룹(소극적 이용형, 보통형, 적극적 애호가형, 무관심형)으로 세분화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의 원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3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림휴양 복지를 경험하는 그룹이 세분화되어있다는 것이다. 둘째, 산림활동 경험 유형별 그룹을 구분 짓는 사회경제적 특성이 규명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산림휴양복지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대상 및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룹별 차별화된 정책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책수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ecause of various societal changes, such as the recent improvement in income levels and extension of the flexible work system, the demand for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and their use patterns are undergoing a chang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rough the segmentation of the overall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markets and to plan differentiated policies for each market type. This study classifies the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activities according to four types of users (i.e., passive usage type, ordinary type, active lover type, and indifferent type)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and examines thei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ree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btained: 1) the group experiencing forest recreation welfare is subdivided; 2)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 groups undertaking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were identified; and 3) the policy targets and characteristics that can increase the experienc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insightful as it suggests differentiated policies for each group and proposes policy measures to move to the desirable group.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19164581602 http://journal.kfs21.or.kr/archive/view_article?pid=jksfs-112-2-248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2.2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