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예술인의 시각예술웹콘텐츠플랫폼 수용에 대한 기술수용모델 기반 연구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온라인 시각예술웹콘텐츠플랫폼 사용자의 이용의도와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수용모델은 양적연구방법론의 연구모델이다. 양적연구방법론은 데이터를 수치화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의 패턴, 관계 등을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델과 가설들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오프라인을 통해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시각예술전문가의 수용에 대한 시각예술웹콘텐츠플랫폼채택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 번...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1; pp. 57 - 7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온라인 시각예술웹콘텐츠플랫폼 사용자의 이용의도와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수용모델은 양적연구방법론의 연구모델이다. 양적연구방법론은 데이터를 수치화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의 패턴, 관계 등을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델과 가설들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오프라인을 통해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시각예술전문가의 수용에 대한 시각예술웹콘텐츠플랫폼채택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 번째 기술숙련도는 태도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인지된 유용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가치들이 사용자들에게 인지가 되면 시각예술웹콘텐츠플랫폼에 접속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인지된 용이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직업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태도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섯 번째는 기술숙련도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IT 기술과 시각예술웹콘텐츠가 접목된 플랫폼에 대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통해서 융복합적 연구를 시도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하지만 인간의 선택이라는 행위는 합리적 선택만이 아닌 각 개인의 정성적인 원인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각예술인의 정성적인 변인이 반영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인터뷰와 같은 질적 연구 방법을 추가로 적용하고 혼합적 연구 방법을 진행하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직종과 변수들을 설정하여 시각 예술 웹콘텐츠플랫폼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한층 더 심도 있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론적 토대들과 학문적 성과들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가 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users on an online visual arts web content platform using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hich involves quantifying data and utilizing statistical techniques to understand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offline. Based on this,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visual arts expert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on the adoption of the visual arts web content platform. Firstly, technological proficiency was found to influence attitude and intention to use. Secondly,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influence attitude. When users perceive the value they can gain from using the platform, they are likely to exhibit a positive attitude towards accessing the visual arts web content platform. Thirdly,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influence attitude. Fourthly, occupation was found to influence attitude. Fifthly, attitude was found to influence intention to use, and sixthly, technological proficiency was found to influence intention to us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research model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IT technology and visual arts web content platforms. However, the act of human choice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rational decisions but also by individual qualitative factors. Therefore, it is deemed appropriate to incorporat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s to reflect the qualitative factors of visual artists in the results. Thus, in future research, by setting various occupations and variables, a more in-depth and continuou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s regarding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adopt visual arts web content platform services. Therefore, the studies utiliz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future studie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2&idx=2530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