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속 6수종 묘목의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포지 저항성 비교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1934))에 의해 발생하며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소나무속(Pinus) 수목들을 고사시키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저항성에 대한 연구는 자연상태 및 온실포트묘에서 주로 이뤄진 반면 포지에서의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6월, 포지에 있는 소나무속 수종인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잣나무(P. koraiensis Siebold &...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2; no. 2; pp. 258 - 266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산림과학회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2.258 |
Cover
Loading…
Summary: |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1934))에 의해 발생하며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소나무속(Pinus) 수목들을 고사시키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저항성에 대한 연구는 자연상태 및 온실포트묘에서 주로 이뤄진 반면 포지에서의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6월, 포지에 있는 소나무속 수종인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잣나무(P. koraiensis Siebold & Zucc.), 소나무(P. densiflora Siebold & Zucc.), 섬잣나무(P. parviflora Siebold & Zucc.), 리기테다소나무(P. rigida × P. taeda), 스트로브잣나무(P. strobus L.)의 묘목을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인공접종하였다. 그리고 인공접종 후 2주 간격으로 위조지수를 측정했고, 인공접종 24주후의 고사율, 소나무재선충 검출률 및 밀도를 측정했다. 소나무재선충병에 의한 고사율은 곰솔(80%), 잣나무(77.8%), 소나무(62.5%), 섬잣나무(22.0%) 순이였으며 리기테다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는 고사하지 않았다. 소나무재선충 검출률은 리기테다소나무(22.2%)를 제외하고 모두 고사율과 동일했다. 위조지수의 경우, 소나무재선충병 고사율 순위가 높았던 곰솔, 잣나무, 소나무 3종에서 높은 수치가 나왔으며, 순위가 낮았던 섬잣나무, 리기테다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3종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통계분석 결과, 곰솔, 잣나무는 소나무재선충병에 높은 감수성을, 소나무, 섬잣나무는 중간 수준의 감수성을, 리기테다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는 확실한 저항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 저항성 육종의 기초자료나리기테다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의 조림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ine wilt disease is caused by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has killed many pine trees in Europe and Northeast Asia, including South Korea. Resistance to pine wilt disease varies among species. Previous studies were mostly conducted in nature or greenhouses and only a few in test fields. In this study, seedlings of six pine species (Pinus thunbergii, P. koraiensis, P. densiflora, P. parviflora, P. rigida × P. taeda, and P. strobus)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by pine wood nematodes in the test field. The Wilt Index was measured every 2 weeks after inoculation in addition to the mortality rate, detection rate, and pine wood nematode concentration measurement after 24 weeks. The pine wilt disease mortality rates were P. thunbergii (80%), P. koraiensis (77.8%), P. densiflora (62.5%), and P. parviflora (22.0%), and both P. rigida × P. taeda and P. strobus survived. The pine nematode detection rates were the same among the species except for P. rigida × P. taeda pine (22.2%). High Wilt-Index values were obtained for P. thunbergii, P. koraiensis, and P. densiflora, which had mortality rates higher than the other species.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ilt Indexes between P. parviflora, P. rigida × P. taeda, P. strobus, and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P. thunbergii and P. koraiensis showed high susceptibility to pine wilt disease, P. densiflora and P. parviflora showed moderate susceptibility, and P. rigida × P. taeda and P. strobus showed apparent resistance.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pine wood nematode resistance breeding or as evidence of the need for afforestation of P. rigida × P. taeda and P. strobu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19164583648 http://journal.kfs21.or.kr/archive/view_article?pid=jksfs-112-2-258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2.2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