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송과 리기다소나무 벌채지에 조성된 낙엽송 임분의 11년간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본 연구는 낙엽송과 리기다소나무 벌채지에 조성된 낙엽송 조림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및 조림목 생장의 장기적인 변화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낙엽송 전생임분(춘천, 김천)과 리기다소나무 전생임분(원주, 가평)에 낙엽송 노지묘(1-1)를 3,000본 ha -1 밀도로 2009-2010년에 식재하였다. 조림 당해연도와 식재 후 3, 7, 11년에 토양 시료(0-20 cm)를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주기적으로 수고 및 근원경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식재 초기 미사와 점토 함량, 총탄소와 전질소, 유효태인...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2; no. 4; pp. 502 - 514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산림과학회
3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4.502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낙엽송과 리기다소나무 벌채지에 조성된 낙엽송 조림지의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및 조림목 생장의 장기적인 변화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낙엽송 전생임분(춘천, 김천)과 리기다소나무 전생임분(원주, 가평)에 낙엽송 노지묘(1-1)를 3,000본 ha -1 밀도로 2009-2010년에 식재하였다. 조림 당해연도와 식재 후 3, 7, 11년에 토양 시료(0-20 cm)를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주기적으로 수고 및 근원경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식재 초기 미사와 점토 함량, 총탄소와 전질소, 유효태인산 농도, 양이온치환용량 등의 토양 특성은 전생임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나, 조림목 생장은 전생임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전반적으로 김천지역이 가장 양호한 반면, 조림목 초기 생장은 가평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림 11년 경과 후에는 어린나무가꾸기 작업에 따라 임분밀도가 크게 감소한 원주(1,028본 ha -1 )와 춘천(1,359본 ha -1 )에서 흉고직경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조림 초기 전생임분과 조림지별 토양 특성의 차이는 낙엽송 조림 11년 경과 후 유사하게 변화하였다. 특히 벌채·조림 후 높게 나타났던 모래함량과 유효태인산 농도는 잠재적으로 유기물 유입과 양분 흡수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벌채 후 조기 재조림이 양분 용탈을 제한하고 토양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낙엽송 재조림지의 양분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ong-term changes in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seedling growth in Larix kaempferi (larch) stands planted in clear-cut larch and Pinus rigida (pine) forest soils over an 11-year period after reforestation. Two-year-old bare-root larch seedlings were planted in 2009-2010 at a density of 3,000 seedlings ha -1 in clear-cut areas that harvested larch (Chuncheon and Gimcheon) and pine (Wonju and Gapyeong) stands. We analyzed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neral soils sampled at 0-20 cm soil depths in the planting year, and the 3 rd , 7 th and 11 th years after planting, and we measured seedling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in those year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il silt and clay content, total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available phosphorus, and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between the two stands; however, seedling growth did not differ. The mineral soil was more fertile in Gimcheon than in the other plantations, while early seedling growth was greatest in Gapyeong. The seedling height and diameter at 11 years after planting were largest in Wonju (1,028 tree ha -1 ) and Chuncheon (1,359 tree ha -1 ) due to decreases in stand density after tending the young trees. The soil properties in all plantations were similar 11 years after larch planting. In particular, the high sand content and high available phosphorus levels (caused by soil disturbance during clear-cutting and planting) showed marked decreases, potentially due to soil organic matter input and nutrient uptake, respectively. Thus, early reforestation after clear-cutting could limit nutrient leaching and contribute to soil stabilization.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nutrient management of larch plantation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03872021044 http://journal.kfs21.or.kr/archive/view_article?pid=jksfs-112-4-502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3.112.4.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