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를 위한 조경객체 및 속성정보 분류체계

BIM(건설정보모델링)을 건설사업 전반에 적용하려는 정부정책 이후 업계는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 활용하려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 BIM 도입은 모델 객체들을 표준에 맞춰 라이브러리로 구축하여 반복 사용함으로써 업무량을 줄이고 데이터의 정합성과 호환성, 일관된 품질을 확보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이에 국내 건축과 토목분야, 해외 조경분야에서는 이미 상당수의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지침을 마련하였다. 현재 국내조경분야에서도 BIM에 관한 기초연구 및 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산업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51; no. 2; pp. 103 - 119
Main Authors 김복영, Kim Bok-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0.04.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BIM(건설정보모델링)을 건설사업 전반에 적용하려는 정부정책 이후 업계는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 활용하려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 BIM 도입은 모델 객체들을 표준에 맞춰 라이브러리로 구축하여 반복 사용함으로써 업무량을 줄이고 데이터의 정합성과 호환성, 일관된 품질을 확보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이에 국내 건축과 토목분야, 해외 조경분야에서는 이미 상당수의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지침을 마련하였다. 현재 국내조경분야에서도 BIM에 관한 기초연구 및 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산업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많아 확산이 지연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BIM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논의의 시발점을 마련함과 동시에 조경실무에서 라이브러리를 제작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객체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경 BIM 라이브러리 표준화는 객체분류와 속성정보 도출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모색되었다. 먼저 국내 건설정보분류체계, 물품분류체계, 조경설계기준, 조경공사표준시방서, 그리고 노르웨이 조경가협회의 BIM 객체분류체계를 참고로 객체분류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경객체는 조경식재, 조경시설물, 조경구조물, 조경포장재, 관수 및 배수시설의 5개 대분류하에 교목, 관목, 지피초화류, 옥외시설물, 옥외조명시설, 계단 및 경사로, 옥외벽체, 옥외구조물, 포장재, 경계석, 관수시설, 그리고 급배수시설을 포함하는 12개의 중분류로 나뉘었다. 다음으로 조경객체에 탑재될 속성정보를 도출하고 구조화하였다. 이를 위해 KBIMS(한국 BIM 표준)의 공통 속성정보를 항목에 포함하였고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객체 속성정보를 영국 조경협회의 PDT(제품정보 템플릿)를 참고하여 추가하였다. 이로써 공통 속성정보에 식별, 보급, 분류체계, 공급정보가 포함되었고, 객체 속성정보에 명명, 규격, 설치 또는 시공, 성능, 지속가능성, 유지관리에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조경객체의 라이브러리 표준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모델링의 업무 효율성 및 분야 간 BIM 모델의 데이터 정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경 BIM 도입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decided to apply the policy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the entire construction industry, it has experienced a positive trend in adoption and utilization. BIM can reduce workloads by building model objects into libraries that conform to standards and enable consistent quality, data integrity, and compatibility. In the domestic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and the overseas landscape architecture sectors, many BIM library standardiz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m. Currently, basic research and attempts to introduce BIM are being mad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ield, but the diffusion has been delayed due to difficulties in application. This can be addressed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IM work using standardized librar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and present a classification system for objects and attribute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creating landscape libraries in practice. The standardization of landscape BIM library was explored from two directions: object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items. First, the Korean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product inventory classification system,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standards, and BIM object classification of the NLA (Norwegian Associ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were referred to classify landscape objects. As a result, the objects were divided into 12 subcategories, including ‘trees’, ‘shrubs’, ‘ground cover and others’, ‘outdoor installation’, ‘outdoor lighting facility’, ‘stairs and ramp’, ‘outdoor wall’, ‘outdoor structure’, ‘pavement’, ‘curb’, ‘irrigation’, and ‘drainage’ under five major categories: ‘landscape plant’, ‘landscape facility’, ‘landscape structure’, ‘landscape pavement’, and ‘irrigation and drainage’. Next,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objects was extracted and structured. To do this, the common attribute information items of the KBIMS (Korean BIM Standard) were included, and the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items that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s were included by referring to the PDT (Product Data Template) of the LI (UK Landscape Institute). As a result, the common attributes included information on ‘identification’, ‘distribution’, ‘classification’, and ‘manufacture and supply’ information, while the object attributes included information on ‘naming’, ‘specifications’, ‘installation or construction’, ‘performance’, ‘sustainability’, and ‘operations and mainten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landscape BIM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library objects, which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modeling tasks and improve the data consistency of BIM models across various disciplin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2313561199621
ISSN:1225-1755
2288-9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