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진로 정체성과 진로 결정 과정

본 연구는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진학 시기부터 이들이 산림 분야를 진로로 선택한 과정과 진로 정체성을 탐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우연학습이론(happenstance theory)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겪은 다양한 경험과 진로 형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진로 정체성 수준은 진로 정체감 지위 측정도구(VISA: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4; no. 2; pp. 151 - 170
Main Authors 원가영, Gayoung Won, 하시연, Siyeon Ha, 박기현, Gihyun Park, 한희, Hee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산림과학회 30.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25.114.2.1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진학 시기부터 이들이 산림 분야를 진로로 선택한 과정과 진로 정체성을 탐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우연학습이론(happenstance theory)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겪은 다양한 경험과 진로 형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진로 정체성 수준은 진로 정체감 지위 측정도구(VISA: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취업에 대한 강한 의지와 부모의 영향이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 방문 경험과 임업·농업 종사자와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산림 분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진로 정체성 분석에서는 성취유형 학생 비율이 혼미 유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혼미 유형 비율이 더 높다고 보고된 기존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국산림과학고의 특화된 교육 과정과 실습 경험이 학생들의 진로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산림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 형성과정을 경험적·환경적 요인과 연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림 분야 교육 및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career identity of Korea Forest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alyzing how they chose forestry as their career path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decis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xperiences and career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nd 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happenstance theory. Additionally, career identity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VISA). The results indicate that strong employment aspirations and parental influences played a key role in the students' career choices. Experiences like forest visits and interactions with forestry or agricultural professionals had an especially strong contribution to shaping positive perceptions of the forestry field. The career ident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students in the achievement category exceeded those in the diffused category, which contrasted with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higher rates of diffused identity. This indicated that the specialized curriculum and hands-on training at Korea Forest Science High School may have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s' career ident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forestry-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y linking it to experient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findings offer foundations for further improving forestry education and its policy development.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519636004696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25.114.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