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셀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패션산업디자인 교육모델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산업디자인의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에서 간과되었던 테셀레이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디자인 실체화의 학습방법을 모색하는 있다. 패션산업디자인과 1학년 기초과목에서 실시한 본 연구의 방법은 테셀레이션 기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논리적 교육을 기반으로 시행되었다. 또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개념으로의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콘셉트의 설정 단계, 제작을 위한 도식화로 형상화하는 계획 단계, 디자인의 접근을 논리화하는 샘플 제작 단계, 그리고 디자인을 제시하는 형상화 재현 단계...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2; pp. 19 - 3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산업디자인의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에서 간과되었던 테셀레이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디자인 실체화의 학습방법을 모색하는 있다. 패션산업디자인과 1학년 기초과목에서 실시한 본 연구의 방법은 테셀레이션 기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논리적 교육을 기반으로 시행되었다. 또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개념으로의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콘셉트의 설정 단계, 제작을 위한 도식화로 형상화하는 계획 단계, 디자인의 접근을 논리화하는 샘플 제작 단계, 그리고 디자인을 제시하는 형상화 재현 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본 프로젝트 수업은 테셀레이션 활용을 통한 접근을 기반으로 도식화의 기획과 테셀레이션작품을 위한 샘플 제작 두 개의 단계는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다음으로 진행된 형상의 재현단계는 1회차에는 보디의 조형성 중심으로, 2회차에는 패션 상품으로의 기능성이 추가된 머리장식으로 분류하여 인체의 특징과 유형을 디자인으로 형상화시키는 재현 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에 대한 검증은 커크패트릭 모델을 사용하여 반응, 학습, 행동 그리고 결과 평가의 4단계로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교육 효과에 대한 평가의 결과는 평균값은 대부분 4점 이상으로 나타나 본 교육의 유용성이 검증되었다. 테셀레이션 디자인을 활용하여 조형물로 완성시키는 교육은 테셀레이션을 구상하고 제작하는 교육 단계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공간분석력에 의한 분할과 공간적 사고능력을 향상시켜 학습자의 시지각력을 높였다는 평가가 우세하였다. 감상 평가는 디자인 발상과 제작 과정에서의 학습자의 자신감을 향상시켰고 테셀레이션에 의해 제작한 작품의 만족도에서 96%의 긍정적 평가를 받음으로써 수업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가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은 물론 디자인 능력을 발전시키는 수업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of learning design substantiation to apply tessellation, which was overlooked in the basic design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more efficiently. This study, conducted in the basic subjects of the first year of the Department of Fashion product Design, was conducted based on theoretical and logical education on tessellation techniques. In addition,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concept of developing design. The project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in the empirical study by classifying it into the concept setting stage, the planning stage to shape it into a schematic for production, the sample production stage to logicalize the approach to the design, and the shape reproduction stage to present the design. In this project class, based on the approach through the use of tessellation, the two stages of schematization planning and sample production for tessellation works were conducted in the same way. The next step of reproducing the shape was classified into a head decoration with added functionality as a fashion product i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was composed of a reproduction step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the human body were embodied in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as verified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in four stages: response, learning, behavior, and outcome evaluation using the Kirkpatrick model.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most of the average value was 4 points or higher, and the usefulness of this education was verified. Education to complete a sculpture using tessellation design was highly satisfied in the educational stage of conceiving and producing tessellation, and the evaluation that it increased the learner’s visual perception by improving segmentation and spatial thinking ability by spatial analysis was dominant. The appreciation evaluation improved the learner’s confidence in the design idea and production proces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as verified by receiving a 96% positive evaluation in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produced by tessel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design classes that not only improve learners’ creativity but also develop design skill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3&idx=2589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