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연구에 대한 SQLR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에서 출판된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논문을 조망하기 위한 체계적 정량적 문헌고찰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 연구의 시간적 추이, 발생 요인(공급, 수요, 정책), 유형(주거, 상업, 문화), 분석 지역, 연구 방법 등의 패턴 및 변화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존 논문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연구가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부분을 조명하며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DBpia에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검색된 결과물 중 KCI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젠트리피케이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7; no. 4; pp. 344 - 361
Main Authors 인경환, Hana Ein, 전보강, Bogang Jun, 전성제, Sungje Jeon, 최서희, Suh-hee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4.34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에서 출판된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논문을 조망하기 위한 체계적 정량적 문헌고찰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 연구의 시간적 추이, 발생 요인(공급, 수요, 정책), 유형(주거, 상업, 문화), 분석 지역, 연구 방법 등의 패턴 및 변화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존 논문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연구가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부분을 조명하며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DBpia에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검색된 결과물 중 KCI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젠트리피케이션은 다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연구는 지리적으로는 서울에, 유형 면에서는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집중되어 있었다.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가 균형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이 중 양적 연구들은 다양한 측정 방식을 도입하고 있었으며, 선행 연구나 정부 보고서에 의존한 연구가 다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관련 현상에 대한 대응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당 용어를 정의에 맞게 사용하고, 더욱 다양한 지역 및 고른 맥락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측정할 때 지역 및 맥락에 맞는 적절한 방법이 시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systematic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gentrification-related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07 to 2023.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patterns and changes in the conceptualization of gentrification, research trends, causes of occurrence (supply, demand, and policy aspects), types (residential, commercial, and cultural), regions of analysis, and research methods to examine how and in what context gentrifi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We analyzed paper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available on DBpia. Our results reveal that the term “gentrification” has been used in diverse ways. In addition, gentrific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has been concentrated in Seoul geographically and on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terms of the type, while the research methods are balanced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Among them, quantitative studies have employed various methods to measure gentrification, with many relying on prior research or government report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term gentrification needs to be used more rigorously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proper response to the gentrification-related phenomena, such that it needs to be used only when the observed phenomena show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of gentrification. In addition, research on gentrification in various regions and contexts is required.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further attempts are needed to measure gentrification to properly quantify its degrees and characteristics.
Bibliography: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409150403214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4.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