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천연기념물 수림지(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과 제주 납읍리 난대림)의 군집구조

천연기념물 수림지는 자연의 역사와 가치가 내포된 문화유산이자 자연유산이지만 산업화와 도시의 무분별한 확대로 생육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숲의 온전한 생태계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군집구조 특성의 구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천연기념물 수림지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과 제주 납읍리 난대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층위 구조, 종다양도 분석을 통해 군집구조 특징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식생 유형분류 결과 군락군 수준에서 까마귀쪽나무 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수준에서는 비자나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2; no. 4; pp. 393 - 404
Main Authors 이정은, Jeong Eun Lee, 황요섭, Yo Seob Hwang, 김호진, Ho Jin Kim, 이주흥, Ju Heung Lee, 윤충원, Chung Weon 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산림과학회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천연기념물 수림지는 자연의 역사와 가치가 내포된 문화유산이자 자연유산이지만 산업화와 도시의 무분별한 확대로 생육환경이 악화되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숲의 온전한 생태계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군집구조 특성의 구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천연기념물 수림지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과 제주 납읍리 난대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층위 구조, 종다양도 분석을 통해 군집구조 특징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식생 유형분류 결과 군락군 수준에서 까마귀쪽나무 군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수준에서는 비자나무군락과 종가시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비자나무군락은 이나무군과 홍지네고사리군으로 세분되었고, 종가시나무군락은 산쪽풀군과 가는쇠고사리군으로 세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식생유형 1(까마귀쪽나무군락군-비자나무군락-이나무군)과 2(까마귀쪽나무군락군-비자나무군락-홍지네고사리군)는 비자나무가, 식생유형 3(까마귀쪽나무군락군-종가시나무군락-산쪽풀군)과 4는(까마귀쪽나무군락군-종가시나무군락-가는쇠고사리군) 종가시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식생유형 1은 2.866, 식생유형 2는 2.716, 식생유형 3은 2.222, 식생유형 4는 2.326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식생유형별 차별화된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Natural Monument Forest (NMF) is a form of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that has symbolized the harmony between nature and culture in Korea for a long time. Recently, the NMF has deteriorated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reckless city expansion. Give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manage the ecosystem of the NMF through preferential research regarding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community structure by analyzing the vegetation classification, stratum structure,and species diversity using veget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Forest of Japanese Torreyas in Pyeongdae-ri, Jeju and the Subtropical Forest of Nabeup-ri, Jeju. The results classified the forest vegetation as a Litsea japonica community group divided into two communities: a Torreya nuciferacommunity and a Quercus glauca community. The T. nucifera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he Idesia polycarpa group and Dryopteris erythrosora group, while the Q. glauc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he Mercurialis leiocarpa group and Arachniodes aristata group. The T. nucifera speci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mportance in vegetation units 1 (Litsea japonicacommunity group-Torreya nucifera community-Idesia polycarpa group) and 2 (Litsea japonica community group-Torreya nucifera community-Dryopteris erythrosora group), whereas Q. glauca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mportance in vegetation units 3 (Litsea japonica community group-Quercus glauca community- Mercurialis leiocarpa group) and 4 (Litsea japonica community group-Quercus glauca community-Arachniodes aristata group). In terms of the species diversity, vegetation units 1, 2, 3, and 4 had 2.866, 2.716, 2.222, and 2.326 specie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ifferentiated management plan for each vegetation unit.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303872000345
http://journal.kfs21.or.kr/archive/view_article?pid=jksfs-112-4-393
ISSN:2586-6613
2586-6621
DOI:10.14578/jkfs.2023.112.4.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