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청학 검사 기반 지방췌의 초음파 진단 유용성

췌장 내 지방 조직의 증가는 대사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지방간 진단과 달리 지방췌에 대한 연구는 표준화된 검사 방법이나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혈청학적 검사 수치를 활용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지방췌 진단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지방췌 진단의 유용성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4년 3월부터 8월까지 G 광역시 G 병원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받은 종합검진자 103명을 대상으로 정상 췌장 그룹(A군, 49명)과 지방췌 그룹(B군, 54명)으로 구분하였으며, BMI, 신체계측 및...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9; no. 2; pp. 205 - 213
Main Authors 추서원, Seo-won Choo, 김진희, Jin-hee Kim, 서영현, Young-hyun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방사선학회 30.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5.19.2.20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췌장 내 지방 조직의 증가는 대사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지방간 진단과 달리 지방췌에 대한 연구는 표준화된 검사 방법이나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혈청학적 검사 수치를 활용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지방췌 진단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지방췌 진단의 유용성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24년 3월부터 8월까지 G 광역시 G 병원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받은 종합검진자 103명을 대상으로 정상 췌장 그룹(A군, 49명)과 지방췌 그룹(B군, 54명)으로 구분하였으며, BMI, 신체계측 및 혈청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췌 그룹에서 연령(58.96±13.7), BMI(26.4±2.2), 허리둘레(88±8.41), 수축기(133.2±13.3) 및 이완기(84.9±6)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혈청학적 인자 중 AST(42±23.1), ALT(40.1±4), GGT(37.4±29.3), Albumin(4.5±0.3), LDH(186.7±49.2), TC(166±62), HbA1c(6.5±1), Creatinine(0.9±0.2) 수치가 정상 췌장 그룹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TG(166±62), LDL-콜레스테롤(111.9±42.6), 공복혈당(114.3±16)은 지방췌 그룹에서 높은 반면, HDL-콜레스테롤(42.5±11.1) 수치는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췌 진단과 관련된 혈청학적 인자들을 초음파 검사와 함께 활용한다면, 지방췌의 경과 관찰 및 치료에도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accumulation of fat within the pancreas has been recognized 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metabolic diseases. However, unlike hepatic steatosis, research on pancreatic steatosis remains limited, and standardized diagnostic criteria have yet to be established.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guideline for the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pancreatic steatosis using serological markers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ultrasound in detecting fatty pancreas. A total of 103 individuals who underwent abdominal ultrasound as part of a general health check-up at G Hospital in G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to August 2024 were enrolle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normal pancreas group (Group A, n=49) and a steatotic pancreas group (Group B, n=54). Clinical parameters, body measurements, and serological test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The steatotic pancrea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age (58.96 ± 13.7 years), BMI (26.4 ± 2.24 kg/m2), waist circumference (88 ± 8.41 cm), systolic blood pressure (133.2 ± 13.3 mmHg),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84.9 ± 6 mmHg)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 < 0.05). Among the serological markers, AST (42 ± 23.1 U/L), ALT (40.1 ± 40 U/L), GGT (37.4 ± 29.3 U/L), albumin (4.5 ± 0.3 g/dL), LDH (186.7 ± 49.2 U/L), total cholesterol (166 ± 62 mg/dL), HbA1c (6.5 ± 1%), and creatinine (0.9 ± 0.2 mg/dL)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steatotic pancreas group (p < 0.05). Additionally, metabolic syndrome-related indicators such as triglycerides (166 ± 62 mg/dL), LDL cholesterol (111.9 ± 42.6 mg/dL), and fasting glucose (114.3 ± 16 mg/dL) were higher, while HDL cholesterol (42.5 ± 11.1 mg/d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eatotic pancreas group (p < 0.05). Based on these findings, combining serological markers with ultrasound may serve as a useful clinical approach for the diagnosis, monitoring, and potential treatment of pancreatic steatosis. Furthermore, as metabolic syndrome is closely related to cardiovascular risk, identifying pancreatic steatosis may provide a valuable preventive marker for metabolic disease.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514239607708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ISSN:1976-0620
2384-0633
DOI:10.7742/jksr.2025.19.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