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ulaca oleracea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제브라피쉬 모델에서의 독성 평가

본 연구는 Portulaca oleracea (P. oleracea)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대체실험 모델인 제브라피쉬배아를 이용한 독성 평가를 통해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 oleracea.는 일년생 다육식물로, Portulacaceae (쇠비름과)에 속하며 주변에 흔히 발견된다.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채취된 P. oleracea전초는 세척, 건조 후 에탄올과 1 : 6 비율로 약 6 일간 침적했다. 이후 감압 여과, 농축 과정을 거쳐 1,3-부틸렌글라이콜과 혼합하여 최종 용액을 제조하였다. 획득한 추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大韓化粧品學會誌 Vol. 51; no. 1; pp. 47 - 54
Main Authors 변혜빈, Hye-bin Byeon, 김보애, Bo-ae Kim, 양재찬, Jae-chan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화장품학회 30.03.2025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5.51.1.4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Portulaca oleracea (P. oleracea)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대체실험 모델인 제브라피쉬배아를 이용한 독성 평가를 통해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 oleracea.는 일년생 다육식물로, Portulacaceae (쇠비름과)에 속하며 주변에 흔히 발견된다.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채취된 P. oleracea전초는 세척, 건조 후 에탄올과 1 : 6 비율로 약 6 일간 침적했다. 이후 감압 여과, 농축 과정을 거쳐 1,3-부틸렌글라이콜과 혼합하여 최종 용액을 제조하였다. 획득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분석을 통해 0.0625 ~ 1 mg/mL의 농도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P. oleracea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독성 평가를 위해 제브라피쉬 배아를 사용하여 응고율, 부화율, 심장독성을 같은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제브라피쉬 배아의 생존율은 P. oleracea 추출물을 처리한 zebra embryo에서 24 h 후 1 mg/mL 농도를 제외한 모든 농도에서 20% 미만의 응고율이 나타났으나, 72 h 후 0.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20% 이상의 응고율이 관찰되었다. 생존한 제브라피쉬의 심박수는 대조군에서 평균 174.81 bpm/min이며, 0.0625 mg/mL 농도에서 188.09 bpm, 0.125 mg/mL에서 187.54 bpm, 0.25 mg/mL에서 185.18 bpm으로 나타났다. P. oleracea 추출물이 에멀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pH, 점도를 측정한 결과, P. oleracea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H, 점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P. oleracea) and evaluated its toxicity using zebrafish embryos to assess its potential as a natural cosmetic ingredient. P. oleracea is an annual succulent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Portulacaceae, commonly found in the neighborhood. The whole plant of P. oleracea was collected from Yesan-gun, Chungcheongnam-do, washed, dried, and soaked in ethanol at a 1:6 ratio for approximately six days. The extract was then subjected to vacuum filtration and concentration, followed by mixing with 1,3-butylene glycol to prepare the final solu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btained extract was evaluated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0625 to 1 mg/mL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ssay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P. oleracea extract increased. For toxicity assessment, zebrafish embryos were used to measure coagulation rates, hatching rates, and cardiotoxicity at the same concentration range. After 24 h, coagulation rates remained below 20% at all concentrations except for 1 mg/mL. However, after 72 h, coagulation rates exceeded 20% at concentrations of 0.25 mg/mL or higher. The heart rate of surviving zebrafish embryos was measured at 174.81 bpm in the control group, 188.09 bpm at 0.0625 mg/mL, 187.54 bpm at 0.125 mg/mL, and 185.18 bpm at 0.25 mg/mL. To evaluate the effect of P. oleracea extract on the emulsion, pH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it was found that pH and viscosit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P. oleracea extract increased.
Bibliography: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511561202947
http://dx.doi.org/10.15230/SCSK.2025.51.1.47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5.5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