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인상을 통한 한국화 표현 연구 -연구자의 채색 작품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자연의 인상을 통해 표현한 한국화 작품 표현의 내재적 본질과 예술적 가치를 채색화 작품을 통해 질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색유산수와 블루레이어에서 발표한 작품을 중심으로 구성, 분석하였다. 한국화의 특징적 표현기법인 중색을 통해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이때 주제가 되는 자연의 시시각각 변하는 인상을 통해 중첩이라는 반복적 행위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첩은 다채로운 색과 공간을 이어주는 매개체인 동시에 작가가 느낀 심상 표현을 내포한 조형적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4; pp. 487 - 49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자연의 인상을 통해 표현한 한국화 작품 표현의 내재적 본질과 예술적 가치를 채색화 작품을 통해 질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색유산수와 블루레이어에서 발표한 작품을 중심으로 구성, 분석하였다. 한국화의 특징적 표현기법인 중색을 통해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이때 주제가 되는 자연의 시시각각 변하는 인상을 통해 중첩이라는 반복적 행위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첩은 다채로운 색과 공간을 이어주는 매개체인 동시에 작가가 느낀 심상 표현을 내포한 조형적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화의 재료, 작가의 의식, 표현 작품이 서로 하나 되는 경험을 연구자의 채색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힘들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수행 과정으로의 실제적 행위는 작품을 창작함에 있어서 많은 정성과 집중을 요구한다. 앞선 과정은 바탕재를 만들고 안료를 수비하며 채색층을 얇게 켜켜이 쌓고 칠하고 말리기를 반복하며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나하나의 질서과 규칙, 정성과 집중은 푸른색으로 함축되어 표현된다. 이 함축적 색의 이미지는 중색으로 나타나는 수많은 색으로 구성된다. 채색화를 다루는 재료와 기법들은 연구자의 마음을 수양하는 하나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때 한 가지 생각으로 몰두하게 되는데 그러한 정련 과정을 통해 감흥과 만족을 얻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연구자는 내적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심상 표현, 색채 표현과 그것을 형상화하고자 하는 수행 표현의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자는 완성된 작품보다 그 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수양 과정을 중시하는데 사실상 이러한 수행 경험의 축적으로 나타난 결정들이 모여 결과물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을 바라보는 태도와 색의 이미지는 동시대 미술에서 의 한국화를 조화롭게 변화 발전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수양의 과정을 통해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the artworks presented in “Colorful Landscape Painting” and “Blue Layers” from 2020 to 2022. These artworks primarily employ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Korean painting, known as layering, to depict the subject of nature, which constantly changes and leaves impressions. The aim is to reveal this ever-changing nature through the repetitive act of layering, which serves as both a medium connecting diverse colors and spaces, and a sculptural element embodying the artist’s imaginative expression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er's artworks through the process of cultivation and repetition, where the materials,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the expressed artworks of Korean painting synergize to experience flow and explore the artistic value in contemporary art. The practical act of creating artwork through this demanding and time-consuming performative process requires great dedication and concentration. This process involves the preparation of a base, the careful application of layers of paint, and the repetition of drying. The order, rules, dedication, and concentration involved in each step are symbolically represented by the color blue. The imagery created by these symbolic colors consists of numerous colors presented through the use of multiple colors.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in portraying the art of landscape painting also serve as a process of nurturing the researcher’s mindset. During this process, one becomes absorbed in refining and experiences inspiration and satisfaction.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internal contemplation of nature, the expression of colors, and the performative aspect of shaping them into tangible forms. Rather than emphasizing the completion of the artwork, the researcher values the process of cultivation required to express it. Therefore, the attitude of looking at nature and the image of color suggest a direction to harmoniously change and develop Korean painting in contemporary art, and it is expected that qualitative growth can be promoted through the process of cultivation.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8&idx=2434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4.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