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방울 모양에 대한 초등학생의 오개념 유형과 오개념 형성의 원인 분석

이 연구에서는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초등학생의 오개념을 조사하고, 오개념이 형성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6학년 497명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빗방울의 모양을 그림으로 표현한후 그렇게 표현한 이유를 적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개념과 그 개념이 형성된 원인을 살펴보았고,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개념이 성별과 학년급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오개념은 크게 눈물모양과 선형이 대부분이고, 오개념 형성의 원인은 학습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교육연구지 Vol. 49; no. 1; pp. 21 - 29
Main Authors 여상인, Sang-ihn Y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25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에서는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초등학생의 오개념을 조사하고, 오개념이 형성된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6학년 497명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빗방울의 모양을 그림으로 표현한후 그렇게 표현한 이유를 적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개념과 그 개념이 형성된 원인을 살펴보았고,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개념이 성별과 학년급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빗방울의 모양에 대한 오개념은 크게 눈물모양과 선형이 대부분이고, 오개념 형성의 원인은 학습자 요인에서는 감각적 경험에 의한 직관적 사고와 특수한 경험의 과도한 일반화 요인이 환경 요인에서는 문화적 요인이 대부분이었다. 빗방울 모양에서는 성별과 학년급별 분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오개념 형성의 원인에서는 성별과 학년별 분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빗방울을 눈물방울로 인식하는 학생의 오개념 형성 원인은 주로 문화적 요인이었고, 빗방울을 직선 또는 사선과 같은 선형으로 인식하는 학생의 오개념 형성 원인은 주로 감각적 경험에 의한 직관적 사고라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빗방울 모양과 오개념 형성 원인은 주로 비형식 교육환경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raindrop shapes and analyze the reasons for their misconceptions. For this study, 4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1~6 were asked to draw a picture of the shape of a raindrop as they thought it should be and to write down the reasons why they thought it should be so. The data were cross-analyzed to examine the conceptions of the shape of raindrops and the reasons for their forma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e conceptions of the shape of raindrops and alternative conceptions differed by gender and grade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Students' misconceptions of the shape of raindrops were mainly tear-shaped and linear, and the sources of misconceptions were intuitive thinking and overgeneralization of special experiences due to sensory experiences in learner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in environmental facto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raindrop shapes by gender and grade leve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by gender and grade level in the sources of misconceptions. The sources of misconceptions for students who perceived raindrops as teardrops were mainly cultural factors, while the sources of misconceptions for students who perceived raindrops as linear shapes such as straight or oblique lines were mainly intuitive thinking based on sensory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raindrop shapes and the sources of misconceptions are mainly formed in an informal educational environment.
Bibliography: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516454003594
http://dx.doi.org/10.21796/jse.2025.49.1.21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5.49.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