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기반 지역균형발전의 동력, 교육발전특구: 공주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육발전특구 정책의 특징과 현황을 살펴보고, 인구감소지역에 해당되는 특구 사례지역 공주를 중심으로 교육발전특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균형발전 일환인 교육발전특구 정책을 통해, 도시 쇠퇴 위기에 놓인 지방 중소도시가 기본생활인프라, 도시 비기반기능에 불과하다고 생각해왔던 ‘교육’을 지역 성장의 열쇠로 전면에 내세우고자 한다. 양질의 교육에 대한 기회 확대와 접근성 향상은 지역경쟁력을 높여 줄 뿐만 아니라 도시 내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지역애를 형성시킬 지역이해교육이 동반된 양질의 교육환경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7; no. 4; pp. 379 - 395
Main Authors 류주현, Ju-hyun Ryu, 임은진, Eun-jin L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경제지리학회 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4.3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교육발전특구 정책의 특징과 현황을 살펴보고, 인구감소지역에 해당되는 특구 사례지역 공주를 중심으로 교육발전특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균형발전 일환인 교육발전특구 정책을 통해, 도시 쇠퇴 위기에 놓인 지방 중소도시가 기본생활인프라, 도시 비기반기능에 불과하다고 생각해왔던 ‘교육’을 지역 성장의 열쇠로 전면에 내세우고자 한다. 양질의 교육에 대한 기회 확대와 접근성 향상은 지역경쟁력을 높여 줄 뿐만 아니라 도시 내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지역애를 형성시킬 지역이해교육이 동반된 양질의 교육환경이어야 지속적인 지역성장에 기여할 수 있올 것이다. 지역주체들은 지역정체성과 지역애를 가진 지역인재를 육성하고, 지역기반산업 수요에 필요한 지역맞춤형 교육을 개발·운영함으로써 지역에서 교육-취업-정주하는 지역인재 정주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한다. 즉. 교육발전특구는 일종의 교육 기반 지역균형발전 정책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Zone policy,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policy in depopulated areas, focusing on the case study region of Gongju. Through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Zone policy, which is part of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mall and medium-sized regional cities facing the crisis of urban decline are now putting “education” at the forefront as the key to regional growth. Until now,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merely a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nd a non-base function of the cit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quality education and improving accessibility can not only enhance regional competitiveness but also reduce internal urban disparities. However, for sustained regional growth, it is essential that 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accompanied by reg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hat fosters local understanding and identity. Local stakeholders must nurture talent with a strong sense of regional identity and attachment, and provide region-specific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local industries. Furthermore, local governments should create a settlement ecosystem where these educated talents can work and reside. In other words,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Zone can be seen as a type of Education-based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is will help create a regional talent ecosystem where individuals stay in the region through education, employment, and settlement.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Development Special Zone can be considered a type of Education-base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Bibliography: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409932406587
ISSN:1226-8968
2713-9115
DOI:10.23841/egsk.2024.27.4.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