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분석법에 의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과관련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아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습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기존의 그리기 이미지 분석도구는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 및 그림을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의미분석법은 특정 대상의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의미분석법을 활용한 연구는 초창기 연구에서 사용한 형용사 쌍을 연구 내용에 맞추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른 용어나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미분석법을 활용하여 중등학생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교육연구지 Vol. 48; no. 1; pp. 63 - 73
Main Authors 송영욱, Youngwook Song, 최혁준, Hyukjoo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24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4.48.1.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과관련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아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습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기존의 그리기 이미지 분석도구는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 및 그림을 분석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의미분석법은 특정 대상의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의미분석법을 활용한 연구는 초창기 연구에서 사용한 형용사 쌍을 연구 내용에 맞추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른 용어나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미분석법을 활용하여 중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Knowing the learner's image of a subject-related occupation is good data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Existing drawing image analysis tools have the limitatio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analyze images and drawings of a scientist's appearance.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s a widely used method to analyze images of specific objects. However, research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has the limitation of failing to reflect terms or factors that change over time by using the adjective pairs used in the initial study as they were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content. In this study, we use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st image and apply it to middle school students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fulness of measuring scientist image.
Bibliography: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415651749375
http://dx.doi.org/10.21796/jse.2024.48.1.63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24.48.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