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간척지에서 가축분퇴비와 화학비료의 절충시비에 따른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새로 간척하여 지력이 낮은 새만금간척지에서 환경 부하량을 줄이면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량을 높이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유기질비료와 무기질비료를 혼합하여 시용하였다. 1. 시험 후 토양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은 CF시용구보다 유기질비료가 시용된 LMC 시용구에서 더 높았으며, LMC 시용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초장은 NF 시용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243-255 cm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건물 수량은 CF시용구 > N70+LMC30시용구 = N50+LMC50시용구 > N3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70; no. 1; pp. 26 - 33
Main Authors 조현숙, Hyeoun-suk Cho, 류진희, Jin-hee Ryu, 신영태, Young-tae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작물학회 3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252-9777
2287-8432
DOI10.7740/kjcs.2025.70.1.02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새로 간척하여 지력이 낮은 새만금간척지에서 환경 부하량을 줄이면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량을 높이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유기질비료와 무기질비료를 혼합하여 시용하였다. 1. 시험 후 토양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은 CF시용구보다 유기질비료가 시용된 LMC 시용구에서 더 높았으며, LMC 시용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초장은 NF 시용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243-255 cm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건물 수량은 CF시용구 > N70+LMC30시용구 = N50+LMC50시용구 > N30+LMC70시용구 > LMC시용구 > NF시용구 순이었으며 화학비료 시용비율이 증가할수록 작물생산량도 증가되었다. 3. LMC와 CF를 혼합하여 토양에 시용한 무기양분의 시비 효율은 칼리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 인산 순이었으며 질소와 칼리는 CF 시용량이 많을수록 시비 효율도 높았으며 인산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새만금간척지에서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을 재배할 때 작물 생산과 토양 유기물을 증진하기 위한 시비 방법은 화학비료 단독보다는 퇴비와 혼합하여 시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이 때 유기질비료(LMC)와 화학비료(T-N)를 혼합 시비 비율은 N70+LMC30, N50+LMC50으로 시용하는 가장 좋았다. Newly reclaimed tideland is typically sandy and has very low organic matter content and soil nutrient retention capacity. Therefore, the yield of crops produced on reclaimed land is lower than that on regular farmland. Additionally, fertilizers used to grow crops can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When cultivating sorghum × Sudan grass hybrids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eland, we found that the soil nutrient retention and dry matter production could be increased by applying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After the test, soil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orus contents were higher in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LMC) application area. The production of sorghum × Sudan grass hybrids was in the following order: CF > N70+LMC30 = N50+LMC50 > N30+LMC70 > LMC > NF. The fertilization efficiency of inorganic nutrients applied to soil by mixing LMC and CF (chemical fertilizer) was highest for potassium, followed by that of nitrogen and phosphorus. The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ation efficiency increased as the amount of chemical fertilizer applied increased. Therefore, it was propos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apply fertilizer mixed with compost rather than chemical fertilizer alone when cultivating sorghum × Sudan grass hybrid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to improve crop production and soil organic matter. The optimal mixing ratio of organic fertilizer (LMC) and chemical fertilizer (T-N) was N70+LMC30 and N50+LMC50.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KISTI1.1003/JNL.JAKO202511450406259
https://doi.org/10.7740/kjcs.2025.70.1.026
ISSN:0252-9777
2287-8432
DOI:10.7740/kjcs.2025.7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