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예술의 예술적 가치 연구 : 보리스 엘닥슨의 AI 생성 작품 중심으로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예술은 인간이 창조하고 제작하는 상징으로 여겨왔다. 예술과 예술성에 대한 개념은 현재까지 절대적인 진리로 정의되지 못한 채 시대와 사조에 따라 정의되는 듯 보인다. 이 연구는 현대 예술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영향을 살펴보고, AI 예술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AI가 제작한 음악과 문학 미술 작품은 대중에게 크나큰 신선함을 선사하지만 예술가와 예술 비평가 사이에서는 AI가 창작한 작품을 예술로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 중이다. 현재 진행 중인 논쟁이 해프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5; pp. 211 - 224
Main Authors 서은선, Seo Eun-s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예술은 인간이 창조하고 제작하는 상징으로 여겨왔다. 예술과 예술성에 대한 개념은 현재까지 절대적인 진리로 정의되지 못한 채 시대와 사조에 따라 정의되는 듯 보인다. 이 연구는 현대 예술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영향을 살펴보고, AI 예술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AI가 제작한 음악과 문학 미술 작품은 대중에게 크나큰 신선함을 선사하지만 예술가와 예술 비평가 사이에서는 AI가 창작한 작품을 예술로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 중이다. 현재 진행 중인 논쟁이 해프닝이 아닌 현대 예술의 새로운 페러다임의 전환적 논쟁이라 생각된다. 발터 벤야민은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을 통해 당대 논란인 사진의 예술성에 대해 정의한다. 벤야민은 기술복제를 통해 생산된 예술작품이 예술로서 가치와 의미를 보유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아우라’ 개념을 통해 사진의 예술적 가능성을 설명한다.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벤야민의 원래 주장은 기술 기반 복제가 예술 작품의 ‘아우라’ 또는 고유한 존재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흥미롭게도 AI가 생성한 예술 작품은 이러한 주장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AI가 만든 예술은 ‘아우라’를 침식하기보다는 ‘디지털 아우라’라는 새로운 형태의 존재감을 선보인다. AI 예술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형성되는 새로운 예술 형식이며 예술의 본질과 인간과 기계의 창의력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벤야민이 기술복제 시대의 사진이라는 장르를 예술로서 어떻게 접근했냐는 현재 AI 예술에 대한 논쟁과 매우 유사한 듯 보인다. 본고는 현재 논란 중인 AI 작품의 예술적 가치와 의미에 대해 논하고 향후 AI 예술과 AI 예술가의 방향성을 논의함으로써 향후 AI 예술과 AI 예술가의 방향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rt has been considered a symbol created and produced by humans. The concept of art and artistry seems to be defin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trends without being defined as an absolute truth to dat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advanc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technology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and engage in a discourse on the essence and value of AI art. AI-generated music, literature, and artworks have brought a breath of fresh air to the public, yet among artists and art critics, there is an ongoing debate about whether AI-created works can be regarded as genuine art. I believe that this ongoing debate signifies not a mere event but rather a transitional discourse for a new paradigm in contemporary art. Walter Benjamin, i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defined the artistry of photography, a contentious subject of the time. Benjamin discussed whether works of art produced through technical reproduction could retain their value and meaning as art through the concept of ‘aura’. Originally, Benjamin’s argument was that technology-based reproduction could diminish the ‘aura’ or unique presence of an artwork. Interestingly, AI-generated artworks seem to deviate from this assertion. Instead of eroding the ‘aura,’ art created by AI presents a new form of presence referred to as the ‘digital aura.’ AI art represents a novel art form formed through the fusion of art and technology, offering a fresh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ar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creativity. The way Benjamin approached photography as art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bears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current discourse surrounding AI ar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artistic value and meaning of currently controversial AI works, particularly by examining the birth of new art genres akin to photography’s acknowledgment as a genre and the advent of AI art through Benjamin’s concept of the ‘aura.’ In doing so, it aims to address the future direction of AI art and AI artist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