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노산암소에 대한 발정억제제 및 항산화제의 급여가 증체와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Twenty four Hanwoo cull cows were assigned to 2 groups, control and melengerol acetate(MGA)+selenium supplement containing vitamin E(SeE), based on the parity(6.5±1.7 birth) and body weight (493.17±55.61kg),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reasonable fattening method of cull cows f...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8; no. 2; pp. 255 - 268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축산학회
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wenty four Hanwoo cull cows were assigned to 2 groups, control and melengerol acetate(MGA)+selenium supplement containing vitamin E(SeE), based on the parity(6.5±1.7 birth) and body weight (493.17±55.61kg),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reasonable fattening method of cull cows for 240 days. Average daily body gains during 240 days were 0.51kg and 0.63kg in control and MGA+SeE, respectively(P<0.10). DDMI/ADG of MGA+SeE group improved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Therefore, supplementation of MGA+SeE in concentrates may accelerate both of the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in Hanwoo cull cows. MQI from MGA+SeE was more developed based on the larger rib-eye area and thinner backfat thickness in carcass than that from control. Marbling score for MGA+SeE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control. Dietary Se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affected muscle Se concentration in longissimus dorsi meat of MGA+SeE group(P<0.05). Similar results to Se were obtained from α-Tocoperol concentration. During 7 days of simulated retail display, accumulations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concentration in beef was greater(P<0.05) in control than in supplemented cow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supplementation of MGA+SeE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both by the growth stimulating effect of MGA+SeE and by preventing the oxidation of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in Hanwoo cull cows. 한우 암소에 있어서 번식기간을 연장하고 효율성 있는 암소 사양관리를 위하여 실시된 본 연구는 한우 노산암소의 단기비육을 돕는 첨가제로서 Vit. E, Se 및 MGA를 첨가 급여하여 암소의 발육성적을 검토하고, 도살 후 도체품질의 변화 및 도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평균산차 6.5산의 노산암소 24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240일간의 증체성적은 투여구의 일당 증체량이 23.4% 증가하였고, 사료요구율도 대조구의 19.5에 비하여 투여구에서 16.3으로 개선되었다(P<0.05). 비육종료 후의 도체성적에서 육량은 투여구의 배최장근 단면적이 증가하고 등지방 두께가 감소하여 육량지수가 대조구의 63.95에 비하여 투여구에서 66.60으로 증가하였다(P<0.05). 도체의 육질에서 근내지방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육색도 대조구보다 투여구에서 개선되었다(P<0.05). 등심조직 중의 육색과 일반화학성분, 물리적 특성 및 근섬유 특성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체내 항산화 역할과 면역기능 향상에 영향하는 셀레늄 침착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α-Tocoperol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육색 안전성에 기여하였음을 시사하였다. 등심조직에 대한 산패도 측정을 위한 TBARS의 농도는 도살 직후부터 2주차의 시험과정동안 유의한 저장성 개선효과가 나타나(P<0.05) 14일째에는 대조구와 투여구가 각각 3.99 및 1.35mg/kg 이었다. 등심조직에 대한 지방산의 조성에서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포화지방산, 단일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C18:1을 비롯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투여구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노산암소를 단기비육할 때 발정 억제제와 항산화제를 급여하면 증체량 및 육질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616049282551 G704-000216.2006.48.2.003 |
ISSN: | 1598-9429 2672-0191 2093-6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