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집단 활동 맥락에서 초등예비교사의 목표지향성과 효능감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소집단활동에서의 목표지향성을 3가지 유형(숙달지향, 수행지향, 수행회피지향)과 2개 수준(개인, 팀원)의 측면에서 조사하는 것이다. 과학과 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학부생 142(남 51, 여 91)명을 대상으로, 3∼4인으로 구성된 소집단별로 초등과학 수업설계 활동을 수차례 진행하도록 하였다. 팀원 수준의 3가지목표지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효능감 사이의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목표지향에 따른 군집분석과 분산분석 결과 숙달지향목표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었다. 그러...
Saved in:
Published in | 과학교육연구지 Vol. 48; no. 3; pp. 228 - 23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12.2024
과학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4.48.3.228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소집단활동에서의 목표지향성을 3가지 유형(숙달지향, 수행지향, 수행회피지향)과 2개 수준(개인, 팀원)의 측면에서 조사하는 것이다. 과학과 교육 강의를 수강하는 학부생 142(남 51, 여 91)명을 대상으로, 3∼4인으로 구성된 소집단별로 초등과학 수업설계 활동을 수차례 진행하도록 하였다. 팀원 수준의 3가지목표지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효능감 사이의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목표지향에 따른 군집분석과 분산분석 결과 숙달지향목표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팀원 목표지향에 따른 군집분석과 t 검증 결과에서는 3가지 목표지향이 모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과학교육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small group work in the aspects of trichotomous types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and two levels (individual and individual-within-a-group). A total of 142 (51 male, 91 female) undergraduates enrolled in a science method course were assigned to a group of three or four, and participated in several small group activities to design elementary science lessons.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s among trichotomous goal orientations at the level of individual-within-a-group,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team-efficacy were positive.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by individual goal and ANOVA showed that the mastery-goal orientation was the most essential factor. However,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by individual-within-a-group goal and t-test indicated that all three goal orientations were important.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
---|---|
Bibliograph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409236005678 http://dx.doi.org/10.21796/jse.2024.48.3.228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4.48.3.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