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구조론적 역사를 고려한 해외 대규모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소 탄성파 해석 결과 분석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Dioxide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북미, 북해, 중동, 오세아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2050년까지 연간 3,000만 톤급의 국내 저장소 확보가 중요한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판구조론적 관점에서 해외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소의 형성 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 27; no. 1; pp. 1 - 22
Main Authors 이영주, Young-ju Lee, 강하연, Ha-yeon Kang, 박윤곤, Yun-gon Park, 한아름, Ah-reum Han, 이재영, Jae-young Lee, 오주원, Ju-won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8.02.2024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Dioxide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북미, 북해, 중동, 오세아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2050년까지 연간 3,000만 톤급의 국내 저장소 확보가 중요한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판구조론적 관점에서 해외 대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소의 형성 과정과 지질구조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외 대규모 CCS 프로젝트를 개발 중인 북미, 북해, 오세아니아, 중동 지역의 이산화탄소 저장소의 형성 과정을 GPlate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판구조론적인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각 지역을 대표하는 지중저장소에 대한 탄성파 영상화 결과를 지질구조적 측면에서 해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대 규모 저장소 탐사에 활용할 수 있다. Carbon dioxide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techniques have received significant global attention as they are part of effort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by 2050. Large-scale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projects are being actively pursued in North America, the North Sea, the Middle East, and Oceania.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identifying large-scale CCS sites that can secure an annual domestic carbon storage capacity of 30 million tons by 2050 is crucia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large-scale CCS projects in terms of plate tectonics. We utilized the GPlates program to interpret the formation processes of large-scale CCS projects in North America, the North Sea, Middle East, and Oceania from the perspective of plate tectonic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CO 2 storage layer and interpreted seismic imaging results obtained from each CCS site. This study will help identify a domestic large-scale CCS site.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KISTI1.1003/JNL.JAKO202410348585789
https://kseg.jams.or.kr/co/main/jmMain.kci
ISSN:1229-1064
2384-05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