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과학 수업을 위한 언어적 상호작용 평가 척도 탐색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수업 담화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5가지 항목으로 분석하고,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초등과학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볼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6개의 3학년 수업과 4개의 5학년 수업, 총 10개 차시 수업을 분석하였다. 우선, 총 10개 차시 수업의 녹화·녹음 자료를 전사한 후, 수업 담화를 교사와 학생이 과학적 지식에 대해 다루는 내용으로 선정하고, 전체 담화를 세분화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향에 맞도록 처리...
Saved in:
Published in | 과학교육연구지 Vol. 49; no. 1; pp. 1 - 20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25
과학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5.49.1.1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수업 담화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5가지 항목으로 분석하고,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초등과학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볼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6개의 3학년 수업과 4개의 5학년 수업, 총 10개 차시 수업을 분석하였다. 우선, 총 10개 차시 수업의 녹화·녹음 자료를 전사한 후, 수업 담화를 교사와 학생이 과학적 지식에 대해 다루는 내용으로 선정하고, 전체 담화를 세분화하여 연구의 목적과 방향에 맞도록 처리하였다. 그리고 초등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언어적 상호작용 프레임워크(Mortimer & Scott, 2003)를 활용하였다. 이는 ‘교수 목적’, ‘내용’, ‘의사소통적 접근’, ‘담화의 유형’, ‘교사 중재’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되고, ‘교수 목적’ 항목의 6가지, ‘내용’ 항목의 3가지, ‘의사소통적 접근’ 항목의 4가지, ‘담화의 유형’ 항목의 5가지, ‘교사 중재’의 6가지가 하위 항목으로 분류된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과학 10개 차시 수업의 각 담화에 대해 언어적 상호작용 5가지 항목의 각 하위 항목을 분석하고 언어적 상호작용 5가지 항목의 각 하위 항목에 대해 언어적 상호작용의 정도를 파악하여 각 하위 항목에 적합한 점수를 부여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개발한 초등과학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척도(Verbal Interaction Scale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VIS-ESC)는 ‘교수 목적’, ‘내용’, ‘담화의 유형’의 3가지 항목이 5개 수준, ‘의사소통적 접근’ 항목이 3개 수준, ‘교사 중재’ 항목이 4개 수준으로 구분되었고, 가장 낮은 수준을 0점으로 시작하여 각 수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초등과학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척도(VIS-ESC)를 바탕으로 실제 초등과학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와 점수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정도를 교사가 스스로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수업 변화를 위한 피드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discourse with five-items and to develop a scale to check the level of verbal interaction and to provide a criterion for elementary science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own teaching. To examine the verbal interac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six third-grade classes and four fifth-grade classes were analyzed. First, after transcribing the videotaped and audio-recorded data of all 10 classes, the class discourse was selected as the content that teachers and students discussed about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entire discourse was segmented and processed to meet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study. Then, the verbal interaction framework (Mortimer & Scott, 2003) was utilized to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is framework is divided into 5 categories: ‘Teaching purposes’, ‘Content’, ‘Communicative approach’, ‘Patterns of discourse’, and ‘Teacher interventions’, and classified into 6 sub-categories under ‘Teaching purposes’, 3 under ‘Content’, 4 under ‘Communicative approach’, 5 under ‘Patterns of discourse’, and 6 under ‘Teacher interventions’. Based on this, each sub-category of the 5 categories of verbal interaction was analyzed for each discourse in the 10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and the degree of verbal interaction was determined for each sub-category of the 5 categories of verbal interaction, and appropriate scores were assigned to each sub-category.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Verbal Interaction Scale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VIS-ESC)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divided into 5 levels: 3 categories of ‘Teaching purposes’, ‘Content’, and ‘Patterns of discourse’, 3 levels of ‘Communicative approach’, and 4 levels of ‘Teacher interventions’, and scores were assigned according to each level, starting with the lowest level as 0. Then, based on the developed Verbal Interaction Scale for Elementary Science Classes (VIS-ESC), we presented an evaluation form and score sheet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can identify the degree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discourse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furthermore, it will help them to provide feedback for classroom changes. |
---|---|
Bibliograph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2516757603645 http://dx.doi.org/10.21796/jse.2025.49.1.1 |
ISSN: | 1225-3944 2733-4074 |
DOI: | 10.21796/jse.2025.4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