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상호작용하는 미술작품의 의의 연구 - 스테인드글라스부터 동시대 미디어아트까지

최근 도시화와 공업화에 따른 환경오염이 전세계적인 주요 화두로 대두되며 현대미술에서 ‘환경, 자연’을 작품의 주요 주제 및 소재로 삼는 작품들도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작품들 가운데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작품들만을 추출하여 그것을 분류하고 분석하며 의의를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들을 각종 자료, 문헌에서 선별하고, 이들을 타 장르, 담론들과 비추어 주요 논의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미술작품의 분류는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자연의 요소를 작품에 반영’하며 표면이 순간적으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1; pp. 445 - 458
Main Authors 하임성, Ha Im S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도시화와 공업화에 따른 환경오염이 전세계적인 주요 화두로 대두되며 현대미술에서 ‘환경, 자연’을 작품의 주요 주제 및 소재로 삼는 작품들도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작품들 가운데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작품들만을 추출하여 그것을 분류하고 분석하며 의의를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들을 각종 자료, 문헌에서 선별하고, 이들을 타 장르, 담론들과 비추어 주요 논의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자연과 상호작용하는 미술작품의 분류는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자연의 요소를 작품에 반영’하며 표면이 순간적으로 변하는 작품과 ‘자연에 의해 외형이 서서히 정적으로 변하는’ 작품, 각종 기계, 디지털 기기가 작품 내 이입되어 ‘외형이 동적으로 변하는 작품’, ‘자연 재료로 제작되어 그것의 일부로 소멸되는 작품’들이었다. 두 번째 이들에 대한 의의로써 먼저 ‘작품과 관객’ 이전 ‘자연’과 상호작용을 선행하며 가시적인 형상을 구성하고 자연, 작품, 관객의 일체화를 꾀하고 있으며, 기존 미술 형식인 인간만의 부속적 대상을 넘어 세계 내에서 더 확대된 역할로써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재로써 자연의 재조명을 통해 인공과 자연이 공존하며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드러내며 그동안의 무분별한 도시화와 개발에 대한 반성도 환기시키고 있었다. 이와 함께 본문에서 분류된 자연과 상호작용 유형들은 당대 사회의 모습과 패러다임을 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일부 생태미술에서 시행되었던 ‘자연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을 더 확대하여 중세시대 스테인드글라스부터 현대 미디어아트까지 포괄할 수 있는 확대된 연구 범주를 제기할 수 있었고, 현대 상호작용 연구, 동시대 미술 연구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었다. Recently, global concerns over environmental pollution stemming from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emerged as a major topic of discussion. Correspondingly, creation of artworks centered on the “environment and nature” themes and materials within the realm of modern art has increased. This study selectively examined and analyzed artworks that directly interact with nature, classified them, and extracted their underlying meaning. It selected research subjects from various materials and literature and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artistic genres and discourses. The findings revealed four categories of artworks interacting with nature that undergo instantaneous surface changes while reflecting elements of nature, gradually transition to a static state due to natural processes, integrate various machines and digital devices, and change their appearance dynamically. These works were crafted from natural materials that ultimately dissolve back into nature. Regarding their significance, these works precede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the work and the audience,” forging visible shapes and striving to unify nature, the work, and the audience. Thus, they foster a uniquely huma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art form, extending their impact beyond mere objects to play an expanded role in the broader world. Further, by re-examining nature as a material, these artworks underscore the coexistence and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ity and nature, prompting reflections on past indiscriminate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practices. Moreover, artworks interacting with nature encapsulate the societal aspects and paradigms of their respective time periods. This study further enriched the understanding of “interaction with nature,” which was implemented in some existing ecological art, and it proposed an expanded research framework that can encompass everything from medieval stained glass to modern media art. This study also contributed by broadening the perspectives within modern interaction art and contemporary art research.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2&idx=2557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5.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