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냥갑 디자인이 내재한 근대적 감각

본 연구의 목적은 포장 디자인을 일상의 생활 양식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는 기존 한국 디자인 연구분야에서 심화된, 포장 디자인을 마케팅 도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벗어나, 문화적 매체로서 포장 디자인이 내재한 가치를 읽을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마케팅 도구로서의 포장 디자인’이라는 개념은 1970년대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된 ‘수출 진작을 위한 상품의 미술화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국가적 디자인 전략의 발전소였던 ‘한국포장디자인센터’는 포장 디자인을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최상의 상품으로 보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4; pp. 527 - 540
Main Authors 오주은, Oh¸ Ju 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1.08.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포장 디자인을 일상의 생활 양식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이는 기존 한국 디자인 연구분야에서 심화된, 포장 디자인을 마케팅 도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벗어나, 문화적 매체로서 포장 디자인이 내재한 가치를 읽을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마케팅 도구로서의 포장 디자인’이라는 개념은 1970년대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된 ‘수출 진작을 위한 상품의 미술화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국가적 디자인 전략의 발전소였던 ‘한국포장디자인센터’는 포장 디자인을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최상의 상품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미술 도구로 규정하고 관련된 정책과 제도를 시행해 나갔다. 1970년대 제도적 차원에서 발아된 포장 디자인에 대한 이러한 시각은 이후 산업계와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계에서 진행된 포장 디자인에 대한 학술 연구와 교육은 “포장은 말없는 세일즈 맨”이라는 서구에서 유래한 포장에 대한 정의를 전제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1970년 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포장 디자인은 여전히 시장에서 교환 가치를 발생시키는 절대적인 그래픽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팔릴 수 있는 상품을 만들기 위한 ‘포장 디자인 방법론’이 아니라 문화 연구의 시각에서 포장 디자인이 수행해 온 기능을 추적하고 이를 통해 특정한 생활 양식을 매개하는 문화적 매체로서 포장 디자인이 지닌 특성을 조명한다. 주요 연구 대상인 한국의 성냥갑은 이러한 연구 목적을 견인한 디자인 텍스트로,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특성을 지닌 문헌 연구에 기반한다. 개항기부터 1930년대까지 한국에서 유통된 성냥갑을 공시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서 일상의 생활 감각을 매개한 포장 디자인이 내재한 가치를 기록의 의미를 지닌 텍스트로 전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packaging design as a daily lifestyle.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reading the inherent value of packaging design as a cultural medium,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tools, which has deepened in the field of Korean design research. The concept of “packaging design as a marketing tool” originated from the “artization strategy of products to boost exports” promoted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1970s. The Korea Packaging Design Center, a power plant for national design strategies at the time, defined packaging design as an art tool to make factory-produced products look like the best products and implemented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This view of packaging design germinat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in the 1970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ndustry and academia since then. In particular,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 on packaging design have been based on the definition of packaging from the West, which is ‘packaging is a silent salesperson’. Therefore,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packaging design is still recognized as an absolute graphic tool that generates exchange value in the market. However, this study traces the function that packaging design has performed from a cultural research perspective and illuminates the characteristics of packaging design as a cultural medium that converges and diverges certain lifestyles. The Korean matchbox, the main research subject, is a design text that drove this research purpose, and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with qualitative research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matchboxes distributed in Korea from the opening of ports to the 1930s at a synchronic and microscopic level, the value inherent in packaging design, which mediates the sense of daily life, is converted into text with the meaning of recording.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8&idx=2441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