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반일(反日) 민족주의의 장기 지속에 관한 연구: 독도 담론과 교과서를 통한 새로운 세대로의 전달을 중심으로
이 글은 한국에서 반일 민족주의가 어떻게 장기 지속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가장 대표적인 반일 담론인 독도 담론이 어떻게 등장하고 변화했으며, 그것이 교과서를 통해 새로운 세대에게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고찰했다. 한국의 반일 민족주의는 일본의 불법적인 식민 지배에서 유래했고, 냉전 체제로 인한 일본의 과거사 사죄와 반성의 무산, 그리고 과거사를 정당화하는 일본의 도발로 인해 계속 분출했다. 특히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간의 갈등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박하는 반일적인 독도 담론을 생산했다. 이런 독도 담론은 1950년대 중...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과 국제정치 Vol. 39; no. 2; pp. 47 - 8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30.06.2023
극동문제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3006 2713-7570 |
Cover
Loading…
Summary: | 이 글은 한국에서 반일 민족주의가 어떻게 장기 지속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가장 대표적인 반일 담론인 독도 담론이 어떻게 등장하고 변화했으며, 그것이 교과서를 통해 새로운 세대에게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고찰했다. 한국의 반일 민족주의는 일본의 불법적인 식민 지배에서 유래했고, 냉전 체제로 인한 일본의 과거사 사죄와 반성의 무산, 그리고 과거사를 정당화하는 일본의 도발로 인해 계속 분출했다. 특히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간의 갈등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박하는 반일적인 독도 담론을 생산했다. 이런 독도 담론은 195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초중고교의 지리 및 역사 교과서에 반영되었고, 그로 인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반일 담론을 학습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반일 민족주의가 장기간 지속하는 데는 식민 지배의 과거사가 청산되지 못한 상태에서 반일 담론이 교과서를 통해 새로운 세대에게 전달되는 과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how and why anti-Japanese nationalism has lasted for so long in Korea, by considering how the Dokdo discourse, as a representation of anti-Japanese nationalism, emerged and has undergone changes, and how it has been transmitted to younger generations through textbooks. Anti-Japanese nationalism in Korea originated in the history of violent Japanese colonial rule and has continued to erupt since then due to aborted Japanese apologies, related to the hasty settling of the Cold War, Japanese efforts to justify their colonial rule in Korea, and repeated claims by Japan to Dokdo Island. In particular,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is island have created an anti-Japanese discourse in Korea, including refuting Japanese dominium claims for the island. From the mid-1950s until the present, this anti-Japanese discourse has been included in geography and history textbooks at all levels of Korean public educati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a result, students have naturally learned an anti-Japanese discourse. We argue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ti-Japanese discourse through textbooks, resulting from the lack of resolution to the two countries’ colonial history,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widespread and persistent anti-Japanese attitude in Korea. |
---|---|
Bibliography: |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https://ifes.kyungnam.ac.kr/ifes/6714/subview.do |
ISSN: | 1225-3006 2713-75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