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전문점의 평면형태에 따른 실내공간분석 -스타벅스 매장사례중심으로
최근 커피전문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전문점은 차별화를 위한 시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차별화 전략 중 하나인 실내 공간디자인은 건축적으로 이미 정해진 공간의 한계 안에서 실내공간에 해당 브랜드의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개점한 우수 커피전문점 사례를 선정하여, 실내형태에 따른 공간 구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공간구성의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실내디자인과 설계계획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2020년 이후 개점한 스타벅스 매장을 대상으로 가...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5; pp. 225 - 23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5.14 |
Cover
Summary: | 최근 커피전문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전문점은 차별화를 위한 시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다양한 차별화 전략 중 하나인 실내 공간디자인은 건축적으로 이미 정해진 공간의 한계 안에서 실내공간에 해당 브랜드의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개점한 우수 커피전문점 사례를 선정하여, 실내형태에 따른 공간 구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공간구성의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실내디자인과 설계계획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2020년 이후 개점한 스타벅스 매장을 대상으로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의 평면 유형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매장의 평면도를 활용하여 공간구성의 특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커피전문점에서는 실외와의 연결성, 벽체 마감 재료, 매장 평면 형태 등에 따른 영향 없이 주 출입구의 위치에 따라 주문 카운터의 위치가 정해졌으며, 이후 출입구와 주문카운터를 고려한 동선이 계획되었다. 직원 및 고객공간은 주문카운터를 기준으로 나뉘고 직원동선은 업무효율을 기준으로, 고객동선은 주문과 픽업 후 좌석으로 돌아가는 동선을 고려하여 계획되었으며 이후 결정된 동선에 따라 가구와 좌석이 배치되었다. 각 매장만의 차별화를 위하여 매장의 공간형태가 다르더라도 일관된 면적과 비율로 직원 및 고객공간은 유지하되, 실내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매장만의 특징을 만들었다. 이러한 방식의 일관된 공간구성은 브랜드의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공간에 맞는 디자인 요소의 변화를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각 매장만의 다양한 차별화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의 형태별 실내공간에 대한 세부 분석 결과는 향후 커피전문점의 형태별 평면 계획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커피전문점의 형태별 평면구성, 효율적 가구배치, 차별화된 디자인요소의 적용 등의 측면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the number of brand coffee shops has increased rapidly, and each brand coffee shop is making continuous attempts to express its identity in order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shops. Interior space design, one of the various differentiation strategies, can give the identity of the brand to the interior space within the limits of the architecturally predetermined space. This study selects examples of brand coffee shops that have recently opened, to analyze the spa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terior design process and check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space com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hree types of planes: horizontal, vertical, and square among Starbucks shops opened after 2020, and the floor plan of each shop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in each design process. In the coffee shop, the location of the order counter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ain entrance without being affected by connectivity to the outdoors, wall finishing materials, and shapes of floor plan. In addition, the staff space and the customer space are divid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order counter, and the circulations of the employees are based on work efficiency, and the circulations of the customers are planned considering the return to the seat after ordering and pickup. Furniture and seat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circulations. In order to differentiate each shop, the physical elements of the interior are used to create the shop's own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taff space and customer space are maintained in a consistent area and ratio, even if the shape of the shop is different. This method is consequentially effective to show the diversity of shops by maintaining not only consistent spatial composition, but also the identity of the brand, and effectively creates various differentiations for each shop. The results of detailed analysis of the interior space by type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planning the floor plan by the type of coffee shops in the futur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5.14 |